• 지정번호제도 개선 (2021년) 이전 발간자료에 수록된 내용을 기반으로 구성한 자료로 지정번호가 일부 표기되어 있을 수 있는 점 이용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유적/용어명 마권자고성(敦化馬圈子古城)
설명 중국 길림성 돈화시(敦化市) 대포시하진(大蒲柴河鎭) 낭시하촌(浪柴河村) 서쪽으로 약 4㎞ 지점의 하천변 평지 위에 있다. 낭시하촌의 원래 이름이 마권자였다고 한다. 부이하(富爾河)가 고성의 서쪽과 남쪽, 동쪽을 돌아나가고 있어 천연의 해자 역할을 하고 있으며, 북쪽은 평지에 접해 있다. 돈화(敦化)에서 안도(安圖) 방면으로 가는 화전(樺甸)의 도로가 이곳을 통과한다. 평면형태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서벽의 길이 317m, 남벽의 길이 198m, 동벽의 길이 209m, 북벽의 길이는 208m이다. 성벽의 잔존 높이는 2∼5m이며, 지세의 변화에 따라 성벽높이도 차이가 있다. 기저부의 너비는 8m 정도이고 상단부의 너비는 1∼1.5m 정도이다. 현재 동·남·북 세 곳이 출입구로 이용되고 있으나, 원래는 동문 1개소가 있었는데 1950년대에 경작을 위하여 북쪽과 남쪽에 출입구를 만들었다고 한다. 동문은 동벽 남쪽에 치우쳐 있으며 성문 바깥쪽에 직경 13m 정도 크기의 옹성(甕城)이 있다. 성벽에는 7개의 치가 있는데 네 모서리에 각 1개, 동벽 중간에 1개, 서벽 중간에 1개, 북벽 동쪽으로 치우친 곳에 1개가 있다. 고성의 동북과 서북 모서리에서 덧댄 성벽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이 성의 주요 방어 방향은 북쪽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주민들에 따르면 50여 년 전 성내에는 집터가 많았고 희미하게 성벽의 기초를 볼 수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오랜기간 동안의 경작으로 대부분 훼손된 상태이다. 성 안의 동남부에는 원래 우물이 하나 있었으나 지금은 확인하기가 어렵다.(한영희)
참고문헌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王禹浪·王寵北編著, 哈浜出版社, 1994)
구분 용어
사전명 한국고고학 전문사전(성곽봉수편) - (성곽편)

국립문화재연구원이(가) 개방한 마권자고성(敦化馬圈子古城)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고고연구실
  • 담당자 : 송효진
  • 문의 : 042-860-9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