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용어명 사과둔 동굴유적(遼寧 沙鍋屯 洞窟遺蹟)
설명 중국 요녕성 호로도시[葫芦島市, 舊 금서현(錦西縣)] 남표진(南票鎭) 사과둔촌(沙鍋屯村) 동남쪽 1.5㎞에 있는 동굴유적이다. 이 일대는 요서회랑(遼西回廊)을 막고 있는 송령산맥(松嶺山脈)의 동쪽으로 여강[女儿河]의 지류가 산 남쪽에서 흘러가고, 동굴은 산의 남쪽기슭에 있다. 사과둔 동굴은 해발 216m 높이에 있고, 동굴입구는 서남쪽으로 35˚방향이다. 1921년 6월 스웨덴 지질학자 앤더슨(J. G. Andersson)이 요녕(遼寧) 서부지역에서 광산조사를 할 때 이 동굴 안에서 인류활동의 흔적을 발견하고 발굴을 진행하였다. 동굴의 규모는 작은 편으로, 동굴입구의 너비는 1.8m, 높이 1.5m, 깊이 5m 정도이다. 동굴의 천정은 거의 둥근모양이고, 동굴바닥은 동굴 밖의 지표보다 조금 낮았다. 동굴 내 퇴적은 모두 5개층으로 나뉘었다. 발굴된 유물은 주로 신석기시대에 속하는 것으로 토기, 석기, 뼈도구 및 돌장식품 등이있다. 석기의 종류로 떼어 만든 화살촉과 돌송곳, 격지 및 간돌도끼 등이 있고, 토기는 모래섞인 것과 채도(彩陶)가 함께 나왔는데, 대표적인 토기로는 ‘之’자무늬와 꼰줄무늬[繩紋]가 찍힌 회색모래질 원통모양 단지[筒形罐]와 채도(彩陶)로서 몸체부분이 한번 꺾인 소래기[折腹盆] 그리고 양손잡이 달린 항아리[雙耳壺] 등이다. 이 밖에 뼈송곳, 뼈바늘, 뼈바늘통, 뼈화살촉 등의 뼈도구와 돌고리[石環], 돌구슬, 동물모양 치레걸이 등의 장식품도 출토되었다. 한편 이 유적에서는 42개체분의 사람뼈도 출토되었는데, 보고자는 당시 이 동굴을 고인류가 거주한 장소가 아니라 제사유적의 하나로 보았고, 채도(彩陶)와 같은 유물을 보고 앙소문화(仰韶文化)의 범주로 이 유적을 이해하였다. 이에 대해 1950년대 초 안지민(安志敏)은 사과둔 동굴에서 나온 격형토기[鬲形陶器]의 시기를 더 늦은 것으로 보아야 하며, 발굴 당시 지층구분이 과학적이지 못했음을 지적하였다. 이후 사과둔 동굴유적에 대한 관심도 자연히 멀어지게 되었다. 최근 요녕성 고고연구자들이 이 일대에 대한 조사를 다시 시작하면서 사과둔 동굴유적과 비슷한 입지에 비슷한 문화성격을 지닌 동굴유적을 여러 곳 발견하였다. 이 자료들에 기초해서 최근에는 사과둔 동굴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은 후홍산문화(後紅山文化)인 소하연문화(小河沿文化)와 홍산문화 시기가 포함된 것으로 보고 있다. 사과둔 동굴유적은 중국 근대고고학사에서 정식으로 발굴된 첫번째 유적으로서, 적봉(赤峰) 홍산후(紅山後)유적이 발굴되기 전 홍산문화의 존재를 알려준 중요한 유적이다.(진소래)
참고문헌 奉天錦西沙鍋屯洞穴層(安特生, 中國古生物志 丁種 第一號 第一冊, 地質調査所, 1923), 沙鍋屯洞穴層位之硏究(安志敏, 中國新石器時代論集, 文物出版社, 1982), 紅山文化(郭大順, 文物出版社, 2005)
구분 유적
사전명 한국고고학 전문사전(신석기시대편)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개방한 사과둔 동굴유적(遼寧 沙鍋屯 洞窟遺蹟)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 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