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정번호제도 개선 (2021년) 이전 발간자료에 수록된 내용을 기반으로 구성한 자료로 지정번호가 일부 표기되어 있을 수 있는 점 이용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유적/용어명 | 가나쿠라야마고분(岡山金藏山古墳) |
---|---|
설명 | 일본 오카야마켄(岡山縣) 오카야마시(岡山市) 사와다(澤田)에 위치한다. 가나쿠라야마(金藏山, 해발 115m)로 불리는 산 정상부에 위치하는 전방후원분으로 전방부는 북쪽을 향하고 있다. 요부 양쪽에 제사장인 돌출부(造出し)가 붙어있다. 전체 길이는 165m, 후원부 지름 110m, 높이 18m, 전방부 너비 72m, 높이 15.5m이다. 1884년에 일부가 발굴되었으며, 1953년 정식 발굴조사가 실시되어 분구에서 3단의 하니와 열과 후원부 정상에서 2기의 매장주체, 그리고 주변에 설치된 유구가 확인되었다. 매장주체부는 후원부 정상부에 하니와를 수립(竪立)하여 방형으로 구획한 부분 두 군데에 분구와 직교하며 주축을 동서 방향으로 하는 수혈식석곽 2기를 축조하였다. 중앙 석곽은 남북 700㎝, 동서 1,000㎝의 묘광 중앙에 구축되었으며 주곽과 동쪽에 설치된 부곽으로 구성된다. 주곽은 석영조면암제 판석으로 쌓았으며 길이 610㎝, 동쪽 너비 130㎝, 서쪽 너비 115㎝, 높이 80㎝이고 벽면에 적색안료를 칠했다. 바닥에는 할죽형목관을 안치한 점토상이 있고, 그 하부에 배수구가 설치되어있다. 부곽은 주곽의 연접한 동쪽에 주축 방향과 교차하게 ‘T’자형으로 설치되었고, 남북 길이 160㎝, 동서 너비 75㎝, 높이 80㎝이다. 남석곽은 남북 390㎝, 동서 약 1,200㎝의 묘광 내에 중앙 석곽과 같은 석재로 쌓았으며 화강암제로 된 개석 7매가 남아 있었다. 석곽은 길이 720㎝, 너비 135㎝, 높이 약 85㎝이다. 부장품은 중앙 석곽에서 벽옥제 관옥 15점·벽옥제 초형석 편·경옥제 조옥(棗玉) 1점·칠기편·통형동기 1점·촉형석 편·통형석제품 편·철검편·철도 2점·철모 1점·철촉 20점 이상·촉형철편·소형도자 1점·철사 5점, 또한 배수시설 내부에서 판갑편이 출토되었다. 중앙 석곽의 부곽에는 4개의 하니와 재질의 합이 출토되었으며 그 안에서 철착 48점·철추 42점·철사·철거(鐵鋸) 9점·소형도자 8점·철부 2점·철제 수부(手斧) 9점·주조철부 5점·철제 작살[?] 8점·철초 8점·수겸(手鎌) 30점·철겸 19점·철모 2점·철침 30점·통형동기 1점·벽옥제 천형품 1점이 출토되었다. 합 외부에서 철촉 43점·소형도자 10점·빗 40점 이상·철제 작살[?] 4점·철창 10점·구침(鉤針) 4점이 출토되었다. 남 석곽 내에서는 변형이신사수경(變形二神四獸鏡) 1면·벽옥제 관옥 35점·호박제 환옥 9점·활석제 곡옥 72점·철검 2점 이상·철도 2점 이상·철촉 36점·철착 2점·철사 2점 이상·이형품 1점·침(針)편·판갑편·빗 1점이 출토되었고, 석곽 바깥에는 방격팔뉴경(方格八乳鏡) 1면·활석제 도자 11점과 하지키 호 1점·고배 35점 이상·바구니 문양으로 된 완[籠目皿] 5점이 출토되었다. 석곽을 둘러싼 하니와 열에는 원통형과 함께 방패·화살통[?]·판갑·양산·집·닭·오리형 하니와가 수립되었다. 또한 1953년 이전 부장품에는 활석제 검 1 점, 활석제 도자 약 70점, 활석제 겸편(鎌片) 등이 있다. 조영시기는 통형동기와 철제품으로 볼 때 4세기 말로 추정된다. 이 고분의 피장자는 분구의 규모가 대형이고 다량의 철제품과 금관가야산 통형동기를 보유한 점에서 한반도 남부와 교류한 이 지역의 유력수장으로 볼 수 있다. 출토유물은 구라시키(倉敷) 고고관에서 전시·소장하고 있다.(박천수) |
참고문헌 | 金藏山古墳(西谷眞治·鎌木義昌, 倉敷考古館硏究報告1, 倉敷考古館, 1959) |
구분 | 용어 |
사전명 | 한국고고학 전문사전(고분편) |
국립문화재연구원이(가) 개방한 고분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고고연구실
- 담당자 : 송효진
- 문의 : 042-860-9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