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용어명 가락동 집자리(서울 可樂洞 住居址)
설명 서울특별시 강동구 가락동에서 조사된 청동기시대 집자리(住居址) 유적으로 한강 지류 옆의 높이 약 40m 가량의 낮은 구릉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1963년 고려대학교박물관에 의하여 발굴되었다. 집자리는 한강 지류 옆의 높이 약 40m 가량의 낮은 구릉 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 주거지는 평면 장방형(長方形)의 반지하식 움집터 1기로, 규모는 장축(동~서), 단축(남~북), 깊이가 10.0×7.0×0.1~0.5m이다. 기둥구멍(柱孔)은 발견되지 않았다. 출토유물은 토기가 대부분인데 화분형(鉢形), 단지형(壺形), 접시 등이 있다. 석기로는 돌낫(石鎌) 1점, 돌화살촉(石鏃) 3점, 송곳 1점, 가락바퀴(紡錘車) 2점, 숫돌(砥石) 3점 등이 있다. 가락동 집자리에서는 화분형토기와 단지형토기가 함께 출토되어 팽이형토기(角形土器)의 특징들을 갖추었지만 바닥 지름이 비교적 작고, 곧은 목이 있어 형식적으로 팽이형토기보다 시기가 약간 늦은 것임을 증명한다. 팽이형토기는 대체로 한강 북쪽까지 분포되어 있고, 가락동 유적의 토기는 팽이형토기보다 약간 늦은 시기의 것으로 한강 이남 중부지방에 분포되어 있다.
참고문헌 광주 가락리 주거지 발굴보고(김정학, 고문화 2,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63)
구분 용어
사전명 한국고고학사전(2001)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개방한 가락동 집자리(서울 可樂洞 住居址)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 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