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용어명 | 가내포봉수(高興加乃浦烽燧) |
---|---|
설명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가인동 뒷산 해발 125.4m의 봉화산 정상에 위치한다. 이곳은 고흥반도의 서남단 해안가로 주변은 해발 150m 미만의 낮은 야산지대이며, 북쪽으로 해발 416.6m의 유주산이 있다. 서쪽으로는 바다를 사이에 두고 거금도와 마주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외나로도와 같은 위치이다. 산의 정상은 폭이 좁고 암반으로 되어있는 능선이 형성되어 있는데, 동-서 방향에 가깝다. 한편 이 산의 남쪽은 예전에 포구가 있던 자리인데, 현재 간척되어 농경지로 활용되고 있다. 이곳은 육지에서 바다쪽으로 돌출된 지역으로 3면이 바다와 접해 있어 서쪽과 동쪽의 해안선을 조망하기에 좋은 지리적인 여건이다. 봉수는 산 정상의 연대와 그 외곽의 석축시설인 외축부가 확인되었다. 연대는 정상부의 암반 위에 축조되었는데, 평면형태는 정방형으로 크기가 6.4×6.4m이다. 그리고 연대의 내부는 빈 공간을 두었으며, 크기가 3.2×3.2m이다. 사각으로 만들어진 석축의 폭은 남쪽 1.6m, 동쪽 1.8m이며, 현재 사면이 뚜렷하게 관찰된다. 높이는 잔존상태가 가장 양호한 동쪽 외벽이 약 1.8m이며, 7단이다. 축조방법은 외면의 경우 부정형 할석을 이용하여 층쌓기를 하였고, 일부 판석형 석재도 사용하였다. 외축부는 정상에서 10m정도 아래 사면에 위치하는데, 현재 모두 붕괴되고 석축이 지나가는 부분의 흔적만 남아 있다. 봉수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서쪽으로 가화봉수, 동쪽으로 소포봉수에 응한다고 하였다.(최인선) |
참고문헌 | 고흥군의 호국유적Ⅱ-봉수-(순천대학교박물관, 2002), 문화유적분포지도-고흥군-(순천대학교박물관, 2003) |
구분 | 용어 |
사전명 | 한국고고학 전문사전(성곽봉수편) - (봉수편)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 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