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용어명 | 판교고분군(城南板橋古墳群) |
---|---|
설명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일원에 위치한 고분군이다. 초기철기시대의 적석목관묘, 백제의 횡혈식석실묘, 고구려의 횡혈식석실묘 등이 고루 발굴조사되었다. 백제고분은 16구역에서 9기가 발견되었는데 장축 방향이 등고선과 직교하고, 현실 평면이 장방형을 띤 점, 연도가 우측에 붙은 점, 할석을 눕혀쌓기 하여 벽석을 올린 점, 궁륭형천장을 가진 점이 공통적이다. 현실의 규모는 가장 작은 3호분이 길이 280㎝, 너비 170㎝ 정도이고 가장 큰 6호분이 길이 318㎝, 너비 180㎝, 9호분이 길이 310㎝에 너비 240㎝ 정도로서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5·6·9호분을 제외한 나머지 고분은 현실 네 벽의 평면형이 바깥으로 배가 부른 이른바 동장식이며 3호분의 후벽 최하단석은 보통의 할석이 아니라 한 장의 커다란 장대석을 이용하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현실 바닥은 생토면을 그대로 이용하였는데 예외적으로 9호분은 바닥과 벽석에 백토를 발랐던 것으로 보인다. 모든 고분에서 출토되는 관정의 존재를 볼 때 목관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대개 2인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7호분의 경우 목관의 크기는 길이 214~257㎝, 너비 57~67㎝ 정도로 추정된다. 9호분을 제외한 모든 고분에서 부장된 토기가 발견되었는데 단경호와 직구호 등 호류가 주종을 이루며 고배와 완 등이 소수 포함되어 있다. 부장품 중 가장 주목되는 것은 장신구류이다. 1·3·6·7·9호분에서 은제 팔찌·은제 가랑비녀·금동제 가랑비녀 등이 출토되었다. 총 9기의 고분 중 5기에서 장신구가 출토된 점은 매우 주목되는데 한성 백제의 횡혈식석실묘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현상으로 피장자 집단의 성격을 추정할 때 주목할 점이다. 16구역의 동편에 자리한 19구역에서는 초기철기시대의 적석목관묘 1기, 고구려의 횡혈식석실묘 3기, 신라의 석곽묘 6기가 발굴조사되었다. 적석목관묘는 구릉 정상부에 입지하는데 길이 202㎝, 너비 68㎝, 잔존 깊이 20㎝의 묘광 내에 돌이 채워진 상태로 발견되었으며 목관의 흔 적은 뚜렷하지 않다. 내부에서 흑도장경호와 점토대토기가 각 1점씩 출토되었다. 구릉 남사면에서는 3기의 고구려 횡혈식석실묘가 발견되었다. 그 중 2기는 쌍실묘로서 장벽을 공유하고 있다(1호분). 벽석은 커다란 할석을 이용하여 최하단석은 눕혀쌓고 그 위는 세워쌓는 방법으로 올렸으며 천장은 모퉁이의 모를 줄이는 말각천장이다. 벽석의 빈틈은 작은 자갈과 회로 채워 넣었다. 서편의 1-1호 현실은 길이 170㎝, 너비 125㎝, 잔존 높이 110㎝의 장방형, 1-2호 현실은 길이 190㎝, 너비 150㎝, 잔존 높이 110㎝의 장방형으로서 모두 우편재연도이다. 1-1호 현실의 연도에는 천장으로 사용된 커다란 장대석 2매가 남아 있으며 입구는 길이 100㎝의 판석을 문비석처럼 사용하여 폐쇄하였다. 1-2호 현실에서는 2매의 판석으로 입구를 폐쇄한 것이 확인되었다. 1-1호 현실의 바닥은 생토면 위에 두께 10㎝ 정도의 적갈색 점토를 깔아서 정지하였으며 일부 불 다짐한 흔적도 확인되었다. 양 현실 모두 관대는 없으며 1-2호분에서 철제도자가 출토된 것 이외에 유물은 없다. 한편 2호분은 길이 185㎝, 너비 140㎝로서 장방형 평면을 띠고 있으며 잔존높이는 120㎝이다. 역시 우편재 연도이다. 반면 북벽 서반부, 서벽 전체, 남벽 서반부에 걸쳐 할석으로 만든 관대를 설치한 점이 1호분과 다르다. 쌍실묘와 말각천장의 존재는 고구려고분과의 관련성을 뒷받침해주며 2호분에서 보이는 좌편재 관대의 존재는 인근의 화성 청계지구 고구려 석실묘와 공통적이다. 한편 19구역에서는 석곽묘 6기가 발굴조사되었다. 그 중 3호분은 길이 234㎝, 너비 76㎝의 석곽과 이를 감싼 호석렬이 발견되었는데 석곽 바닥은 돌을 깔았다. 바닥에 돌을 깐 것은 1·2·6호분에서도 확인된다. 유물이 전혀 출토되지 않아 정확한 성격은 알 수 없으나 신라 이후의 고분으로 추정된다.(권오영) |
참고문헌 | 성남 판교지구 문화유적 2차 발굴조사-5차 지도위원회의 자료-(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7), 성남 판교지구 문화유적 2차 발굴조사 6차 지도위원회의 자료(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8) |
구분 | 용어 |
사전명 | 한국고고학 전문사전(고분편)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 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