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용어명 다곽식(多槨式)
설명 다곽식은 부석 또는 분구 등 하나의 묘역에 2기 이상의 매장주체시설을 배치한 형식을 말한다. 이 경우 묘역 내의 매장시설이 동시에 구축되어 독립적인 곽이 아닌 여러 기의 순장곽 또는 부장곽으로 이루어진 매장시설과, 시기차이를 두면서 각각의 매장시설이 독립된 매장주체의 자격을 가지는 매장시설 등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후자를 다곽식의 범주에 포함시킨다. 다곽식의 배치를 보면, 대개 묘역 중심부에 규모가 큰 매장주체시설을 배치하고, 주변에 규모가 작은 매장주체시설을 배치하였다. 하나의 묘역 내에 여러 기의 매장주체시설을 배치한 형식은 청동기시대의 부석이 마련된 지석묘가 있으나 여기에는 관이 설치되어 다곽식의 범주에는 포함하지 않는다. 다곽식은 고구려 적석총과 신라·가야고분 및 영산강유역의 옹관고분에 많이 확인된다. 평면 형태가 방형 또는 장방형의 기단식적석총은 적석부 내에 여러 기의 매장주체시설이 설치되어 있는데, 시기는 4세기 대가 중심을 이루고, 5세기 대가 되면 하나의 묘역에 1기 또는 2기의 매장주체시설이 배치된 형식으로 바뀐다. 신라와 가야의 봉토분에서 가장 많은 사례가 확인된다. 매장시설이 수혈식석곽 또는 횡구식석실·횡혈식석실인 고분에서 많이 보이고,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후반의 약 1세기에 유행하며 7세기 이후에는 사라진다. 다곽식은 의성 탑리고분처럼 규모가 같은 여러 기의 매장주체부가 설치된 예와 1기의 중심 곽과 그 주위에 규모가 작은 곽이 배치된 예로 나뉜다. 다곽식이 많이 확인된 지역은 대구·의성·안동 등의 영남 내륙 북부지역과 고성·합천·함양·창녕 등지이다. 대구·의성·함양·고성 등지에서 확인된 다곽식의 매장주체시설은 수혈식석곽이고, 합천·안동·창녕 등지에서 확인된 다곽식의 매장주체시설은 횡혈식석실과 수혈식석곽 또는 횡구식석실이다. 하나의 묘역 내에 여러 기의 곽을 설치한 다곽식의 피장자는 혈연적인 유대관계에 있는 인물로 추정되며, 다곽식의 배치를 통해 그러한 관계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신라와 가야지역의 다곽식 형식은 5세기 말과 6세기 전반에 유행하다가 6세기 후반에 횡혈식석실과 횡구식석실에 여러 명이 매장되면서 사라졌다.(홍보식)
참고문헌
구분 용어
사전명 한국고고학 전문사전(고분편)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개방한 다곽식(多槨式)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 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