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릉의 보물
 건원릉 정자각_서비스.jpg)
(보물) 건원릉 정자각
 건원릉 정자각 측면_서비스.jpg)
(보물) 건원릉 정자각 측면
 건원릉 정자각 세부_서비스.jpg)
(보물) 건원릉 정자각 세부
 건원릉 정자각 장식문양_서비스.jpg)
(보물) 건원릉 정자각 장식문양
 건원릉 정자각 소맷돌_서비스.jpg)
(보물) 건원릉 정자각 소맷돌
(보물) 목릉 정자각
(보물) 목릉 정자각 측면
(보물) 목릉 정자각 단청
(보물) 목릉 정자각 향로계와 어로계
 숭릉 정자각_서비스.jpg)
(보물) 숭릉 정자각
(보물) 숭릉 정자각 배면
(보물) 숭릉 정자각 세부
(보물) 숭릉 정자각 소맷돌
 여주 영릉 재실_서비스.jpg)
(보물) 여주 영릉 재실
 여주 영릉 재실_서비스.jpg)
(보물) 여주 영릉 재실
 여주 영릉 재실_서비스.jpg)
(보물) 여주 영릉 재실
 여주 영릉 재실 내부_서비스.jpg)
(보물) 여주 영릉 재실 내부
 여주 영릉 재실 내부_서비스.jpg)
(보물) 여주 영릉 재실 내부
 여주 영릉 회양목_서비스.jpg)
(천연기념물) 여주 영릉 회양목
 여주 영릉 회양목_서비스.png)
(천연기념물) 여주 영릉 회양목
 여주 영릉 회양목_서비스.png)
(천연기념물) 여주 영릉 회양목
 건원릉 신도비_서비스.jpg)
(보물) 건원릉 신도비
 건원릉 신도비 이수_서비스.jpg)
(보물) 건원릉 신도비 이수
 건원릉 신도비 이수 배면_서비스.jpg)
(보물) 건원릉 신도비 이수 배면
 건원릉 신도비 귀부_서비스.jpg)
(보물) 건원릉 신도비 귀부
 건원릉 신도비 귀부 얼굴_서비스.jpg)
(보물) 건원릉 신도비 귀부 얼굴
 건원릉 신도비 귀부 배면_서비스.jpg)
(보물) 건원릉 신도비 귀부 배면
 건원릉 신도비 귀부 장식_서비스.jpg)
(보물) 건원릉 신도비 귀부 장식
 헌릉 신도비_서비스.jpg)
(보물) 헌릉 신도비
 헌릉 신도비 이수_서비스.jpg)
(보물) 헌릉 신도비 이수
 헌릉 신도비 이수 측면_서비스.jpg)
(보물) 헌릉 신도비 이수 측면
 헌릉 신도비 귀부_서비스.jpg)
(보물) 헌릉 신도비 귀부
 헌릉 신도비 귀부 배면_서비스.jpg)
(보물) 헌릉 신도비 귀부 배면
 헌릉 신도비 귀부 얼굴_서비스.jpg)
(보물) 헌릉 신도비 귀부 얼굴
 헌릉 신도비 귀부 발부분_서비스.jpg)
(보물) 헌릉 신도비 귀부 발부분
 헌릉 신도비 귀부 귀갑_서비스.jpg)
(보물) 헌릉 신도비 귀부 귀갑
 융릉 개비자나무_서비스.jpg)
(천연기념물)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융릉 개비자나무_서비스.jpg)
(천연기념물)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조선왕릉의 숨겨진 보물
500년 넘게 조성된 조선왕릉은 오랜 시간 못지않게 구석구석에 다양한 가치를 담은 유물이 배치되어 있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조선후기 학자 유한준(兪漢寯)의 말처럼, 구석구석을 탐색하며 조선왕릉 이해하기에 좀 더 다가가 보자. 조선왕릉이 세계유산으로 일괄지정된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보물’로 개별 유물에 대해 별도로 국가지정된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왕릉에서 유일하게 세 곳에만 세워진 신도비(태조 건원릉·태종 헌릉·세종 영릉)를 비롯해 건립 당시의 원형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는 정자각(丁字閣)과 재실, 그리고 이곳에 있는 천연기념물 회양목에 이르기까지 곳곳에 흩어져 있는 숨은 보물을 찾아보는 것도 왕릉답사의 즐거움일 것이다.
보물로 지정된 조선왕릉 유적
국가유산명 | 지정종목 | 연대 | 특징 |
---|---|---|---|
구리 동구릉 건원릉 정자각 | 보물 | 1408년 |
|
구리 동구릉 목릉 정자각 | 보물 | 1608년 |
|
구리 동구릉 숭릉 정자각 | 보물 | 1679년 |
|
구리 태조 건원릉 신도비 | 보물 | 1409년 |
|
서울 태종 헌릉 신도비 | 보물 | 1424년 |
|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 | 보물 | 1452년 |
|
여주 효종 영릉재실 | 보물 | 1659년경 |
|
여주 효종대왕릉(영릉) 회양목 | 천연기념물 | 17세기경 |
|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 천연기념물 | 18세기말경 |
|
- 정자각 : 왕릉의 제향 공간으로, 제사를 지내기 위해 봉분 앞에 설치한 정(丁)자 모양의 건물
- 신도비(神道碑) : 주인공의 생애와 업적 등을 기리기 위해 일대기를 새겨 넣은 비석
- 재실(齋室) : 제관(祭官)의 휴식, 제수 장만, 제기 보관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왕릉 부속건물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