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릉의 보물

(보물) 건원릉 정자각

(보물) 건원릉 정자각

(보물) 건원릉 정자각 측면

(보물) 건원릉 정자각 측면

(보물) 건원릉 정자각 세부

(보물) 건원릉 정자각 세부

(보물) 건원릉 정자각 장식문양

(보물) 건원릉 정자각 장식문양

(보물) 건원릉 정자각 소맷돌

(보물) 건원릉 정자각 소맷돌

(보물) 목릉 정자각

(보물) 목릉 정자각

(보물) 목릉 정자각 측면

(보물) 목릉 정자각 측면

(보물) 목릉 정자각 단청

(보물) 목릉 정자각 단청

(보물) 목릉 정자각 향로계와 어로계

(보물) 목릉 정자각 향로계와 어로계

(보물) 숭릉 정자각

(보물) 숭릉 정자각

(보물) 숭릉 정자각 배면

(보물) 숭릉 정자각 배면

(보물) 숭릉 정자각 세부

(보물) 숭릉 정자각 세부

(보물) 숭릉 정자각 소맷돌

(보물) 숭릉 정자각 소맷돌

(보물) 여주 영릉 재실

(보물) 여주 영릉 재실

(보물) 여주 영릉 재실

(보물) 여주 영릉 재실

(보물) 여주 영릉 재실

(보물) 여주 영릉 재실

(보물) 여주 영릉 재실 내부

(보물) 여주 영릉 재실 내부

(보물) 여주 영릉 재실 내부

(보물) 여주 영릉 재실 내부

(천연기념물) 여주 영릉 회양목

(천연기념물) 여주 영릉 회양목

(천연기념물) 여주 영릉 회양목

(천연기념물) 여주 영릉 회양목

(천연기념물) 여주 영릉 회양목

(천연기념물) 여주 영릉 회양목

(보물) 건원릉 신도비

(보물) 건원릉 신도비

(보물) 건원릉 신도비 이수

(보물) 건원릉 신도비 이수

(보물) 건원릉 신도비 이수 배면

(보물) 건원릉 신도비 이수 배면

(보물) 건원릉 신도비 귀부

(보물) 건원릉 신도비 귀부

(보물) 건원릉 신도비 귀부 얼굴

(보물) 건원릉 신도비 귀부 얼굴

(보물) 건원릉 신도비 귀부 배면

(보물) 건원릉 신도비 귀부 배면

(보물) 건원릉 신도비 귀부 장식

(보물) 건원릉 신도비 귀부 장식

(보물) 헌릉 신도비

(보물) 헌릉 신도비

(보물) 헌릉 신도비 이수

(보물) 헌릉 신도비 이수

(보물) 헌릉 신도비 이수 측면

(보물) 헌릉 신도비 이수 측면

(보물) 헌릉 신도비 귀부

(보물) 헌릉 신도비 귀부

(보물) 헌릉 신도비 귀부 배면

(보물) 헌릉 신도비 귀부 배면

(보물) 헌릉 신도비 귀부 얼굴

(보물) 헌릉 신도비 귀부 얼굴

(보물) 헌릉 신도비 귀부 발부분

(보물) 헌릉 신도비 귀부 발부분

(보물) 헌릉 신도비 귀부 귀갑

(보물) 헌릉 신도비 귀부 귀갑

(천연기념물)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천연기념물)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천연기념물)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천연기념물)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조선왕릉의 숨겨진 보물

500년 넘게 조성된 조선왕릉은 오랜 시간 못지않게 구석구석에 다양한 가치를 담은 유물이 배치되어 있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조선후기 학자 유한준(兪漢寯)의 말처럼, 구석구석을 탐색하며 조선왕릉 이해하기에 좀 더 다가가 보자. 조선왕릉이 세계유산으로 일괄지정된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보물’로 개별 유물에 대해 별도로 국가지정된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왕릉에서 유일하게 세 곳에만 세워진 신도비(태조 건원릉·태종 헌릉·세종 영릉)를 비롯해 건립 당시의 원형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는 정자각(丁字閣)과 재실, 그리고 이곳에 있는 천연기념물 회양목에 이르기까지 곳곳에 흩어져 있는 숨은 보물을 찾아보는 것도 왕릉답사의 즐거움일 것이다.

보물로 지정된 조선왕릉 유적

보물로 지정된 조선왕릉 유적 안내표
국가유산명 지정종목 연대 특징
구리 동구릉 건원릉 정자각 보물 1408년
  • 조선왕릉 제도에 있어 정자각의 표준이 된 건물
  • 더욱이 정자각 정면에서 바라본 능침의 봉분은 태조 이성계의 유언에 따라 함경도의 억새풀을 심었다 하며, 유일하게 풀이 무성한 특이한 풍광을 이루고 있음
구리 동구릉 목릉 정자각 보물 1608년
  • 왕릉 유일의 다포(多包)형식의 건물, 조선전기 정자각의 모습을 간직한 사례
  • 목릉은 조선왕릉 유일하게 세 언덕에 선조․의인왕후․인원왕후를 모신 삼강릉 제도를 따른 사례임. 각 능을 연결한 작은 돌길을 따라 거닐어 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것임
구리 동구릉 숭릉 정자각 보물 1679년
  • 왕릉 유일의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건물, 17세기 정자각의 다양한 유형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사례
구리 태조 건원릉 신도비 보물 1409년
  • 조선 건국 후 새롭게 창출된 신도비의 전통이 반영된 것으로, 조선왕릉 신도비의 대표사례
서울 태종 헌릉 신도비 보물 1424년
  • 조선초기 왕릉 신도비의 귀중한 사례이며, 당시 역사와 서예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준작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 보물 1452년
  • 조선왕릉의 마지막 신도비. 현재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경내에 있음
여주 효종 영릉재실 보물 1659년경
  • 조선왕릉 재실의 원형을 간직한 유일한 예
여주 효종대왕릉(영릉) 회양목 천연기념물 17세기경
  • 원래 회양목은 작고 낮게 자라는 나무로 이와 같이 재실 내에 크게 자란 나무는 쉽게 찾아볼 수 없음
  • 생물학적인 가치가 큰 노거수(老巨樹)일 뿐만 아니라 1673년에 조성한 효종대왕 영릉 재실에서 300여년 동안 자라온 나무로서 그 유래 및 역사성이 매우 깊음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천연기념물 18세기말경
  • 개비자나무는 보통 키가 3m 이내로 낮게 자라는데, 이 나무는 키가 4m에 이르고 줄기 둘레도 80cm에 이르는 등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어 융릉 재실 조영 당시에 심었을것으로 추정된다.
  • 보존상태도 우수하여 우리나라 개비자나무를 대표하는 가치가 있으며, 융릉 재실과 관련된 역사적·문화적 가치가 크다.

표를 드래그 해주세요.

  • 정자각 : 왕릉의 제향 공간으로, 제사를 지내기 위해 봉분 앞에 설치한 정(丁)자 모양의 건물
  • 신도비(神道碑) : 주인공의 생애와 업적 등을 기리기 위해 일대기를 새겨 넣은 비석
  • 재실(齋室) : 제관(祭官)의 휴식, 제수 장만, 제기 보관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왕릉 부속건물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개방한 왕릉의 보물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