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례에 사용된 기물

제례에 사용된 기물

왕릉의 제례에는 다양한 제기 및 기물들이 사용된다.

향과 축문은 제례 때 신을 모시는 역할을 하였으므로 향축궤를 별도로 만들어 보관하였다. 왕이 행차하는 제례에는 향과 축문을 향축궤에 넣어 받들고 갔으며 신하가 대행하는 제례에는 왕이 별도로 향과 축문을 전달하는 의례를 통하여 제사를 위임하였다. 상을 진설하는데 사용하는 제기로 중계, 산자, 약과 등의 음식을 높게 고일 때 사용하는 우리(于里)와 우리대(于里臺)제기가 있는데 원통형 용기의 상단 바깥 면에 명문이 있어 용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향로는 향을 태워 연기로 천상의 혼을 내려 모시는 의식에 사용되는 제기로 헌작 때 초헌관은 향로에 향을 세 번 나누어 사른다. 술을 담아 올리는 제기에는 산과 구름, 우레를 새겼는데 구름과 우레가 널리 혜택을 베풀어 인군이 은혜를 여러 신하에게 미치게 하는 것을 형상화하였다.각종 제례와 궁중에서 쓰는 술잔은 모양이 새와 비슷하다 하여 작(爵)이라 부른다.

그 외에 초의 심지를 자르는 가위, 절단한 초의 심지나 촛농을 담는 그릇, 술의 양을 재는 제기 등 다양한 제기가 사용된다.

손을 씻는 대야

손을 씻는 대야

향로

향로

산과 구름, 우레를 새긴 술동이

산과 구름, 우레를 새긴 술동이

주병

주병

술을 붓는 제기와 받침

술을 붓는 제기와 받침

술잔

술잔

용머리 장식 국자

용머리 장식 국자

중계를 담는 제기와 받침

중계를 담는 제기와 받침

축판

축판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