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청의 설치

왕과 왕비가 승하하면 장례준비를 위한 임시 관청인 도감이 설치되어 관련 절차를 진행하였는데, 국장도감은 관(재궁)을 왕릉에 모시는 일을, 빈전도감은 시신을 수습하여 빈소를 차리고 염습과 상복을 준비하는 일을, 산릉도감은 능을 조성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또 장례를 치른 후 신주를 모시고 삼년상을 치르는 혼전을 담당하는 혼전도감이 별도로 설치되기도 하였는데, 많은 경우 빈전도감이 혼전의 업무를 담당하여 빈전혼전도감으로 불렸다.

일이 끝난 뒤에는 다시 의궤청을 설치해 행사의 자초지종, 즉 논의·준비·진행·종료 등의 모든 사실과 전말을 기록하게 하였고 이를 의궤로 편찬하였다.

인조대왕산릉의궤

인조대왕산릉의궤

경종의릉산릉도감의궤

경종의릉산릉도감의궤

헌종대왕국장도감의궤

헌종대왕국장도감의궤

헌종빈전혼전도감의궤

헌종빈전혼전도감의궤

건릉개수도감의궤

건릉개수도감의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