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례 절차

왕릉의 산릉제례

조선왕릉 산릉제례는 신의왕후 한씨의 제사에 태종의 행행이 거행되면서 이루어졌는데 이 후 수정과 보완을 거쳐 『국조오례의』에 능제가 수록되면서 정비되었다.

산릉제례는 속절제와 기신제로 나눌 수 있다. 속절제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을 대표하는 날(정월 초, 한식, 단오, 추석, 동지, 섣달 그믐)과 청명에 각 능에서 모시는 제례를 의미하며, 기신제는 왕이나 왕비의 기일에 행하는 제례를 말한다.

제사의 과정은 제사전의 준비절차, 거가출궁, 행례절차, 거가환궁의 4단계로 구분된다.

제례를 시행하기 이틀 전부터 왕은 몸을 깨끗이 하며 준비하고, 하루 전날까지 제사상 차림 등 모든 준비를 마쳤다. 제례 당일에는 왕이 축문을 받들고 나아가 절을 올리고 정자각에 차려진 상 앞에서 향을 피운 뒤 술잔을 올린 후 다시 절을 올리고 축문을 태우면서 의례를 마쳤다. 절차는 기본적으로 조선왕실의 다른 의례와 비슷했으나 음복 절차가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산릉제례는 조선왕실의 근본을 강조하는 의례였으므로, 왕실에서는 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록을 남겨 누락되거나 오차 없이 제례를 이어갔다. 이는 현대까지 이어져 지금도 각 왕릉에서 산릉제례의 전통에 따라 제례를 행하고 있다.

제례 절차

01 제례준비 - 진설(陳設)

제례준비
제례준비
제례준비
제례준비

02 신을 맞아들임 - 영신(迎神)

신을 맞아들임
신을 맞아들임
신을 맞아들임
신을 맞아들임
신을 맞아들임

03 잔을 올림 - 헌작(獻爵)

잔을 올림
잔을 올림
잔을 올림
잔을 올림

04 신을 보내드림 - 송신(送神)

신을 보내드림
신을 보내드림
신을 보내드림

05 제례를 끝냄 - 망료(望燎)

제례를 끝냄
제례를 끝냄

연간 제향일정표

연간 제향일정 안내표
능명 능주 날짜
온릉(溫陵) 단경왕후 1월 16일
홍릉(洪陵) 고종 1월 21일
선릉(宣陵) 선종 1월 21일
목릉(穆陵) 선조와 의인왕후 3월 16일
경릉(景陵) 헌종과 효현왕후, 효정왕후 3월 20일
희릉(禧陵) 장경왕후 3월 26일
혜릉(惠陵) 단의왕후 3월 27일
창릉(昌陵) 예종과 안순왕후 4월 16일
수릉(綏陵) 추존 문조와 신정왕후 4월 17일
원릉(元陵) 영조와 정순왕후 4월 22일
강릉(康陵) 명종과 인순왕후 4월 24일
유릉(裕陵) 순종과 순명왕후, 순정왕후 4월 25일
영릉(英陵) 소헌왕후 4월 28일
홍릉(弘陵) 정성왕후 4월 3일
영릉(英陵) 세종 4월 8일
융릉(隆陵) 추존 장조와 헌경왕후 4월 9일
명릉(明陵) 숙종과 인현왕후 5월 13일
태릉(泰陵) 문정왕후 5월 16일
사릉(思陵) 정순 5월 20일
예릉(睿陵) 철종과 철인왕후 5월 28일
건릉(健陵) 정조와 효의왕후 5월 8일
순릉(順陵) 공혜왕후 5월 9일
현릉(顯陵) 문종과 현덕왕후 6월 10일
장릉(長陵) 인조와 인열왕후 6월 17일
영릉(寧陵) 효종과 인선왕후 6월 23일
건원릉(健元陵) 태조 6월 27일
헌릉(獻陵) 태종 6월 8일
후릉(厚陵) 정안왕후 8월 11일
헌릉(獻陵) 원경 8월 27일
영릉(永陵) 추존 진종과 효순왕후 9월 10일
숭릉(崇陵) 현종과 명성왕후 9월 18일
휘릉(徽陵) 장렬왕후 9월 20일
효릉(孝陵) 인종과 인성왕후 9월 21일
선릉(宣陵) 정현왕후 9월 22일
정릉(貞陵) 신덕왕후 9월 23일
경릉(敬陵) 추존 덕종 소혜왕후 10월 15일
공릉(恭陵) 장순왕후 10월 16일
인릉(仁陵) 순종과 순원왕후 10월 20일
의릉(懿陵) 경종과 선의왕후 10월 23일
후릉(厚陵) 정종 10월 24일
제릉(齊陵) 신의왕후 10월 29일
광릉(光陵) 정희왕후 10월 2일
장릉(莊陵) 단종 10월 3일
장릉(章陵) 추존 원종과 인헌왕후 10월 5일
홍릉(洪陵) 명성왕후 10월 8일
익릉(翼陵) 인경왕후 11월 1일
정릉(靖陵) 중종 12월 9일

표를 드래그 해주세요.

진설도

진설도
진설도
진설도
진설도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