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왕릉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 전경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 전경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 능침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 능침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 능침의 계단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 능침의 계단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 능침의 고석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 능침의 고석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 능침의 석양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 능침의 석양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 능침의 석호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 능침의 석호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의 동측 무석인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의 동측 무석인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의 동측 문석인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의 동측 문석인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의 장명등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의 장명등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의 정자각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의 정자각

고려왕릉의 분포와 입지

고려시대 왕릉은 문헌기록에 따르면 1대 태조 현릉에서 34대 공양왕 고릉까지 왕릉과 왕후릉이 총 60기에 이른다. 대부분 왕도였던 개성을 중심으로 개풍, 판문, 장풍지역에 분포하며, 특히 송악산 북쪽과 개성시 서쪽의 만수산 남쪽 구릉에 집단화되어 분포하는 경향을 보인다. 대몽항쟁기의 수도였던 강화도에도 몇몇 왕릉과 왕후릉이 남아있다. 그러나 도굴이나 유실 등으로 정확한 능호가 밝혀지지 않은 능이 여럿 있고, 고려 후기에는 무신정권의 득세와 왕권약화로 인해 조성위치가 불분명한 능이 많다.

일반적인 고려왕릉은 평지에 조성되었던 신라왕릉과 달리 구릉진 언덕 아래 남향에 자리하며, 우측 골자기에서 흘러내린 소하천을 낀 곳에 축조되는 경향이 많다. 이러한 여건이 부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돌담을 쌓아 풍수지리적 조건에 맞추기도 했다.

고려왕릉의 구조와 형식

고려왕릉의 능역은 지형에 따라 규모의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장방형으로 조성되며, 석축에 의해 3~4단으로 구분된다. 가장 높은 1단에는 봉분과 곡장이 위치하는데, 원형 봉분의 하단에 12지를 새긴 병풍석과 난간석을 두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봉분 주위 사방에 석호나 석양을 배치한 능도 있다. 봉분 앞 중앙에는 석상[혼유석]이 있고, 양옆으로 망주석 1쌍이 위치한다. 석상의 받침은 초기 고려왕릉에서는 방형의 넓적한 형태로 나타나지만 후기로 가면서 둥글고 납작한 고석을 괸 형태로 변화한다. 망주석은 사각 또는 팔각기둥의 형태에 끝부분을 뾰족하게 하거나 둥글게 한 형태이다. 2단에는 중앙의 사각 장명등을 중심으로 양옆에 문석인 1쌍을 마주보게 세운다. 문석인은 초기에는 양관에 홀을 든 형식이 많았고, 원 간섭기에는 복두에 공복을 한 형식이 나타나기도 한다. 3단에는 무석인 1쌍을 세우는데, 조복에 칼을 든 형식은 간혹 보이지만 갑옷과 투구로 완전히 무장한 형식은 31대 공민왕 현정릉에서 처음 보이는 형식이다. 가장 아래쪽에는 정자각과 능비를 세운다.

봉분 아래에 위치한 석실은 대체로 방형 또는 장방형의 횡구식(橫口式)묘의 구조이며, 석실은 벽석을 수직으로 쌓고 천장을 평천장으로 마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석실의 네 벽과 천장에 얇게 회칠을 하며, 일부 무덤의 경우 벽화를 그려놓았다. 벽화의 주제는 사신도나 매화, 소나무, 별자리, 성신도, 12지신상 등이다. 석실 바닥 중앙의 관대 위에는 관이 놓이고, 양쪽에 명기(明器)로 의복, 고려청자, 일상용기 등을 진설하였다.

조선왕릉의 기원이 된 현릉과 정릉(玄陵·正陵)

현·정릉(玄·正陵)은 고려 제 31대 공민왕(恭愍王, 1330~1374)과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 ?~1365)의 쌍릉이다. 우리가 흔히 ‘공민왕릉’이라고 부르는 바로 그 능이다. 1365년(공민왕 14) 2월 노국공주가 산후병으로 사망하자 그해 4월 장사지내고 능호를 정릉이라 하였다. 이후 1374년 10월 공민왕이 죽자 생전에 노국공주 정릉 옆에 마련해 둔 자리에 장사를 지내고, 능호를 현릉이라 하였다. 개성직할시 개풍군 해선리에 위치하며, 일반적인 고려왕릉과 같이 구릉진 언덕 아래에 남향으로 조성되어 경사가 급한 것이 특징이다.

고려의 능침제도는 일반적으로 왕릉과 왕비릉이 따로 만들진 반면 공민왕릉에 이르러 처음으로 현정릉의 동원쌍릉이 등장하였다. 현·정릉은 현전하는 고려왕릉 가운데 석물과 능역의 보존상태가 가장 좋은 능으로, 고려말 왕릉 형식을 대표할 뿐 아니라 조선초기로 이어져 조선왕릉 형식의 직접적인 기원을 이루었다.

참고문헌

장경희, 『고려왕릉』, 예맥, 2008.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Ⅰ』, 2009.

고려왕릉 현황표

고려왕릉 현황표
대수 묘호 능호 조성년도 소재지 국가지정문화유산 현존여부
1 태조, 신혜후 현릉
(顯陵)
943년 개성시 개풍군
중서면 고령리
북한국보유적
제179호
O
신성후 정릉
(貞陵)
개성시 판문군
화곡리
북한보존급유적
제573호
O
추존 추존 세조 창릉
(昌陵)
897년 예성강 동안 북한보존급유적
제554호
O
2 혜종 의화후 순릉
(順陵)
945년 개성시내 가하동 북한보존급유적
제946호
O
3 정종, 문공후 안릉
(安陵)
949년 개성시 개풍군
고남리
북한보존급유적
제552호
O
4 광종, 대목후 헌릉
(憲陵)
975년 개성시 삼거리 북한보존급유적
제555호
O
5 경종, 헌숙후 영릉
(榮陵)
981년 개성시 판문군
판문읍
북한보존급유적
제569호
O
헌종후 원릉
(元陵)
1009년 장풍군 월고리
현화동
북한보존급유적
제571호
O
6 성종, 문덕후 강릉
(康陵)
997년 개성시 판문군
진봉리
북한보존급유적
제567호
O
추존 추존 대종,
선의후
태릉
(泰陵)
969년 개풍군 해선리 북한보존급유적
제546호
O
7 목종, 선정후 의릉
(義陵)
1012년 개성 동쪽
(『고려사』)
X
8 현종 선릉
(宣陵)
1031년 개성시 개풍군
해선리
북한보존급유적
제547호
O
추존 추존 안종 건릉
(乾陵)
1017년 장풍군 월고리
현화동
북한보존급유적
제572호
O
9 덕종 숙릉
(肅陵)
1034년 개성 북쪽 교외
(『고려사』)
X
10 정종 주릉
(周陵)
1046년 개성 북쪽 교외
(『고려사』)
X
11 문종 경릉
(景陵)
1083년 개성시 판문군
선적리
북한보존급유적
제570호
O
12 순종, 선희후 성릉
(成陵)
1083년 개성시 판문군
진봉리
북한보존급유적
제568호
O
13 선종, 사숙후 인릉
(仁陵)
1094년 개성 동쪽
(『고려사』)
X
14 헌종 은릉
(隱陵)
1095년 개성 동쪽
(『고려사』)
X
15 숙종 영릉
(英陵)
1105년 개성시 판문군
판문리 구정동
북한보존급유적
제569호
O
16 예종 유릉
(裕陵)
1122년 개성시 개풍군
오산리
북한보존급유적
제1701호
O
17 인종 장릉
(長陵)
1146년 개풍 청교리
장릉리
(『고려사』)
알수없음
18 의종, 장경후 희릉
(禧陵))
1175년 개성 동쪽
(『고려사』)
X
19 명종, 의정후 지릉
(智陵))
1197년 개성시 판문군
두매리 지릉동
알수없음
20 신종 양릉
(陽陵)
1205년 개성시 개풍군
고남리
북한보존급유적
제553호
O
21 희종 석릉
(碩陵)
1237년 경기도 강화군
양도면 능내리
사적(남한소재) O
22 강종 후릉
(厚陵)
1213년 개성시 금남면
현화리
(『고려사』)
X
원덕태후 곤릉
(坤陵)
1239년 강화군 양도면
길정리
사적(남한소재) O
23 고종 홍릉
(洪陵)
1259년 강화군 강화읍
능내리
사적(남한소재) O
24 원종 소릉
(昭陵)
1274년 개성시 룡흥동 북한보존급유적
제562호
소릉떼
순경태후 가릉
(嘉陵)
1236년 강화군 강화읍 사적(남한소재) O
25 충렬왕 경릉
(慶陵)
1308년 개성 서쪽
(『고려사』)
X
제국대장공주 고릉
(高陵)
1297년 개풍군 해선리 북한보존급유적
제545호
O
26 충선왕 덕릉
(德陵)
1313년 개성 서쪽
(『고려사』)
X
27 충속왕 의릉
(懿陵)
1339년 개성 중서면
(『고려사』)
X
28 충혜왕 영릉
(永陵)
1344년 개성 X
29 충목왕 명릉
(明陵)
1349년 개성시 개풍군
연릉리
북한보존급유적
제549호
명릉떼
30 충정왕 총릉
(聰陵)
1352년 개성시 개풍군
오산리
북한보존급유적
제550호
O
31 공민왕,
노국대장공주
현릉
(玄陵)
정릉
(正陵)
1374년 개성시 개풍군
해선리
북한보존급유적
제123호
O
32 우왕 우왕묘 1389년 - X
33 창왕 창왕묘 1389년 - X
34 공양왕 고릉
(高陵)
1392년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강원도
시도기념물
(남한소재)
O
경기도 파주시 사적(남한소재) O

표를 드래그 해주세요.

출처

경주시, 『신라왕릉현황조사보고서Ⅲ』 , 2013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