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석

제4대 세종 영릉의 표석

조선왕릉의 표석은 방형 기단부 위에 비신을 세우고, 그 위에 옥개형(屋蓋形) 지붕을 얹은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비석 양식은 중국 당나라에서 이미 등장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에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처음에 귀부는 그대로 두고 이수를 옥개형으로 변형시켜 안치한 표석 형식이었다가 귀부를 방형 기단으로 만드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조선왕릉의 표석은 16세기 이후 신도비 건립이 중단되었다가 17세기 현종연간에 이르러 왕릉에 표석을 세워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면서 등장하게 되었다. 조선왕릉 최초의 표석은 효종과 인선왕후를 모신 영릉(寧陵)의 표석으로, 1681년(숙종7) 입석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이듬해인 1682년(숙종8)에 세워지게 되었다. 영릉(寧陵) 표석은 이후에 조성되는 조선왕릉 능표의 기준이 되어 의미가 크다. 한편 표석건립의 전형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세워져 장대하고 화려한 조각기법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표석 양식은 점차 소박해져 영·정조연간을 거쳐 정형화되었다.

왕릉 표석은 영조 재위기간인 1740년대부터 대규모로 건립되었다. 열성(列聖)에 대한 추숭과 어필간행 등을 통해 자신의 왕위 계승의 전통성을 공표하고자 했던 영조는 제릉의 신도비를 재건하는 한편, 의릉(懿陵)을 비롯하여 총 20곳에 달하는 곳에 표석을 세우는 역사(役事)를 추진했고, 처음 친필 글씨를 돌에 새긴 어필비를 제작하기에 이르렀다. 이 시기 어필비 제작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후 소실된 어필을 보존하려했던 숙종의 신념을 계승한 영조에 의해 제도적으로 추진되어 시대사적으로 주목할 만하다.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왕릉 표석은 다시 한번 다량 제작되었다. 특히 고종은 대한제국의 정통성을 태조의 조선 건국에 두고 태조와 그 4대 선조에 대한 추숭과 기념물 제작에 심혈을 기울였다. 또한 전면과 후면 모두 자신의 글씨로 채움으로써 역대 어느 왕보다 통치자로서 권한을 상징적으로 드러내었다.

조선왕릉 신도비·표석 건립 현황

조선왕릉 신도비·표석 건립 현황 안내표
순번 왕릉 신도비·표석 조성연대 수량 비고
재위 능호 왕∙왕후
1 제1대 건원릉
健元陵
태조 신도비 : 1409년(태종9)
추숭비 : 1900년(광무4)
2기 신도비, 표석
2 제릉
齊陵
신의고황후 재건비 : 1744년(영조20)
추숭비 : 1900년(광무4)
2기 신도비, 표석
3 정릉
貞陵
신덕고황후 추숭비 : 1904년(광무8)
(1770년 최초 건립)
1기 표석
4 제2대 후릉
厚陵
정종
정안왕후
1755년(영조31) 1기 표석
5 제3대 헌릉
獻陵
태종
원경왕후
신도비 : 1424년(세종6)
중건비 : 1695년(숙종21)
2기 신도비
6 제4대 영릉
英陵
세종
소헌왕후
구 신도비 : 1452년(문종2)
표석 : 1745년(영조21)
2기 신도비(청량리)
표석(여주)
7 제5대 현릉
顯陵
문종
현덕왕후
1754년(영조30) 1기 표석
8 제6대 장릉
莊陵
단종 1733년(영조9) 1기 표석
9 사릉
思陵
정순왕후 1771년(영조47) 1기 표석
10 제7대 광릉
光陵
세조
정희왕후
1755년(영조31) 1기 표석
11 추존 경릉
敬陵
덕종
소혜왕후
1755년(영조31) 1기 표석
12 제8대 창릉
昌陵
예종
안순왕후
1755년(영조31) 1기 표석
13 공릉
恭陵
장순왕후 1817년(순조17) 1기 표석
14 제9대 선릉
宣陵
성종
정현왕후
1755년(영조31) 1기 표석
15 순릉
順陵
공혜왕후 1817년(순조17) 1기 표석
16 제11대 정릉
靖陵
중종 1755년(영조31) 1기 표석
17 온릉
溫陵
단경왕후 1807년(순조17) 1기 표석
18 희릉
禧陵
장경왕후 1753년(영조29) 1기 표석
19 태릉
泰陵
문정왕후 1753년(영조29) 1기 표석
20 제12대 효릉
孝陵
인종
인성왕후
1753년(영조29) 1기 표석
21 제13대 강릉
康陵
명종
인순왕후
1753년(영조29) 1기 표석
22 제14대 목릉
穆陵
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
1747년(영조23) 1기 표석
23 추존 장릉
章陵
원종
인헌왕후
1753년(영조23) 1기 표석
24 제16대 장릉
長陵
인조
인렬왕후
1731년(영조7) 1기 표석
25 휘릉
徽陵
장렬왕후 1747년(영조23) 1기 표석
26 제17대 영릉
寧陵
효종
인선왕후
1682년(숙종8) 1기 표석
27 제18대 숭릉
崇陵
현종
명성왕후
1721년(경종1) 1기 표석
28 제19대 명릉
明陵
숙종·인현왕후
인원왕후
숙종·인현왕후 표석 : 1720년(경종원년)
인원왕후 표석 : 1757년(영조 33)
2기 표석
29 익릉
翼陵
인경왕후 1720년(경종원년) 1기 표석
30 제20대 의릉
懿陵
경종
선의왕후
1724년(영조원년) 1기 표석
31 혜릉
惠陵
단의왕후 1747년(영조23) 1기 표석
32 제21대 원릉
元陵
영조
정순왕후
영종 표석 : 1776년(정조원년)
정순왕후 표석 : 1805년(순조5)
영조 표석 : 1890년(고종 27)
3기 표석
33 홍릉
弘陵
정성왕후 1757년(영조33) 1기 표석
34 추존 영릉
永陵
진종
효순소황후
효장세자 표석 : 1777년(정조1)
추숭비 : 1908년(융희2)
(1785년 진종 표석)
2기 표석
35 추존 융릉
隆陵
장조
헌경의황후
추숭비 : 1900년(광무4)
(1789년 현륭원 표석)
1기 표석
36 제22대 건릉
健陵
정조
효선의황후
추숭비 : 1900년(광무4) 1기 표석
37 제23대 인릉
仁陵
순조
순원숙황후
합봉비 : 1857년(철종8)
추숭비 : 1900년(광무4)
2기 표석
38 추존 수릉
綏陵
문조
신정익황후
합봉비 : 1890년(융희2)
추숭비 : 1902년
2기 표석
39 제24대 경릉
景陵
헌종
효현성황후
효정성황후
추숭비 : 1908년
(1904년 작 합봉비 재활용)
1기 표석
40 제25대 예릉
睿陵
철종
철인장황후
추숭비 : 1904년(광무8)
(1878년 작 합봉비 재활용)
1기 표석
41 제26대 홍릉
洪陵
고종
명성황후
1922년
(1898년 명성황후 홍릉 표석 사용)
1기 표석
42 제27대 유릉
裕陵
순종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
1968년
(1907년 구 유릉 표석)
1기 표석
총 52기(신도비 7기, 표석 45기)

표를 드래그 해주세요.

영릉(寧陵) 표석은 조선왕릉 표석의 기준이 되는 동시에 표석 건립의 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시기에 세워져, 후대 왕릉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양식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표석의 기단인 농대석(籠臺石)은 상하 2중 기단으로 만들어졌으며, 복련(覆蓮), 앙련(仰蓮), 당초(唐草), 안상(眼象) 등의 문양을 음각으로 새겨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옥개석인 가첨석(加檐石) 아래에는 공포의 특징만 포착하여 간략하게 표현했고, 처마는 좌우 상향 곡선을 그리며 매끈하게 뻗은 형태이다. 비신에는 당나라 서예가 이양빙(李陽氷) 풍의 자형이 길고 굴절이 원만한 전서로 ‘조선국 효종대왕 영릉(朝鮮國孝宗大王寧陵)’이라고 정갈하게 썼으며, 후면 음기에는 영릉의 천봉(遷奉) 사실과 비 인선왕후를 부장한 사실을 기록하였다.

혜릉 표석은 영조가 의욕적으로 능표건립을 추진하던 시기에 제작된 표석으로, 1720년 봉릉된 후 한참 뒤인 1747년에 건립되었다. 표석의 건립 과정은 『[목릉·혜릉·휘릉]표석영건도감의궤』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의궤를 통해 1746년 예조 장령 김한운이 혜릉에 표석을 세워주기를 간청하면서 동구릉에 있는 목릉과 휘릉에도 함께 표석이 세워지게 된 사실을 알 수 있다. 혜릉의 표석은 숭릉(崇陵) 표석을 기준으로 비각의 크기와 표석 규모를 결정하였다. 표석은 농대석, 비신, 가첨석으로 구성되었으며, 가첨석 하단의 처마의 공포는 2단으로 얕게 조각되었다.

고종은 대한제국 선포 후 황제로서 전통과 권위를 드러내기 위해 조선의 창업군주인 태조에 대한 현창사업에 노력을 기울였으며, 건원릉 표석 역시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건립되었다. 건원릉의 표석은 신도비의 양식을 차용해 귀부이수형으로 조각되었으나, 이수 중앙 하단에 오얏꽃 문양을 앞뒤로 새겨 넣어 대한제국의 상징성을 부각시켰다. 비신의 전면과 음기는 모두 고종의 어필인데, 이전시기에 제작된 어필비의 경우 음기를 왕이, 전서(篆書)를 전자관(篆字官)이 쓴 것과 차이를 보인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6
제4대 세종 영릉의 표석

제4대 세종 영릉의 표석

제5대 문종 현릉의 표석

제5대 문종 현릉의 표석

제7대 세조 광릉의 표석

제7대 세조 광릉의 표석

제12대 인종 효릉의 표석

제12대 인종 효릉의 표석

제11대 중종 정릉의 표석

제11대 중종 정릉의 표석

제13대 명종 강릉의 표석

제13대 명종 강릉의 표석

제14대 선조 목릉의 표석

제14대 선조 목릉의 표석

제19대 숙종 명릉의 표석

제19대 숙종 명릉의 표석

제20대 경종 의릉의 표석

제20대 경종 의릉의 표석

제22대 정조 건릉의 표석

제22대 정조 건릉의 표석

대한제국 2대 순종 유릉의 표석

대한제국 2대 순종 유릉의 표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