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본방법

탁본이 이루어 지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뚜껑에 종이를 대고 연필로 그어본 경험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금석문 체험에서도 탁본방법을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꾸며 보다 동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탁본의 준비물과 탁본 순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탁본 준비물
1.수건 2.솔 3.롤러 4.분무기 5.신문 6.접시 7.탁봉 8.한지 9.테이프 10.먹물


탁본 실시 절차

1. 비석 청소
탁본 전에 비석을 깨끗하게 청소한다.


2. 테이프를 이용한 한지 부착
테이프를 한지를 비석에 이용해 부착한다.


3. 물을 이용한 한지 밀착
분무기를 이용하여 한지에 물을 바른다.

  • - 기포가 남지 않도록 위에서부터 정성스럽게 물을 뿌린다.

4. 수건과 롤러를 이용한 물기와 기포 제거
수건과 롤러로 남아 있는 기포와 물기를 제거한다.

  • - 롤러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밀어 기포를 없앤다. 이때 너무 강하게 밀면 한지가 찢어지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5. 옷솔을 이용한 문자 윤곽 살리기
옷솔로 가볍게 치면서 글자 부분의 한자를 안쪽으로 밀어넣는다.

  • - 물기가 많은 곳은 수건을덮고 두르려서 물기를 적당히 제거한다.
  • - 솔로 두드리면서 물기가 너무 마른 곳은 적당히 뿌려주면서 작업한다.


6. 탁봉준비
탁봉에 먹이 흡수 되도록 담근 후에 신문지 위를 친다.

  • - 탁봉에 흡수된 먹물이 배어 나오지 않아야 하면 물처럼 배어 나오는 탁봉을 사용할 경우 비석에 먹물이 묻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 탁봉은 좁쌀이나 톱밥을 천으로 감싼 후 묶어서 사용한다.


7. 탁본 작업
준비된 탁봉으로비석 위의 한지에 먹을 묻힌다.

  • - 본 작업을 하기 전에 여백에 재대로 먹물이 묻어나는지 시험해본다. 적당히 묻어나면 일정한 방향으로 꼼꼼하게 두드려 나간다. 한지가 마르기 전에 신속하게 작업한다.


8. 마무리
탁본이 완성되면 한지를 떼어 내고 비석을 깨끗이 청소한다. 탁본은 그늘에서 건조해야 하며 신문지로 포장하여 이동과 보관을 해야한다.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