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문화재 실태와 현황(北韓文化財實態와 現況)
- 보고서유형분류
- 조사연구보고서
- 발행년도
- 1985 년
- 형태사항
- 320쪽/26cm
- 저작권자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초록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초록
이 책은 남북한 문화교류에 대비하여 1985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북한 문화유산의 실태를 파악하여 발간한 보고서이다. 먼저 북한의 문화정책과 문화유산관리 행정의 실태를 살펴보고, 1945년 광복 이후 발굴한 유적과 유물들의 현황을 시도별로 나누어 소개하였다. 제1장에서는 이러한 사업의 목적을 밝히고 제2장에서는 자료수집 경위를 설명하였다. 제3, 4장에서는 ...
이 책은 남북한 문화교류에 대비하여 1985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북한 문화유산의 실태를 파악하여 발간한 보고서이다. 먼저 북한의 문화정책과 문화유산관리 행정의 실태를 살펴보고, 1945년 광복 이후 발굴한 유적과 유물들의 현황을 시도별로 나누어 소개하였다. 제1장에서는 이러한 사업의 목적을 밝히고 제2장에서는 자료수집 경위를 설명하였다. 제3, 4장에서는 북한의 문화유산 보존관리 및 체계를 제시하였고, 제5장에서 제7장까지는 1945년부터 1980년까지 북한에서 발굴한 유적 200건을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처음으로 북한의 유적발굴 현황을 파악해 볼 수 있으며, 유물사관에 입각한 북한의 고고학연구 경향도 아울러 살펴볼 수 있다. 이어 제8장에서는 북한에 현존하는 유형문화유산과 사적지의 현황을 지역별로 소개하였다. 제9장은 국토통일원에서 발간한 『북한의 문화재 보존실태 및 교류방안』(1984년)에서 북한의 국보급을 비롯한 문화유산들을 발췌하여 수록하였다. 제10장에서는 1971년 문화공보부가 지정·발표한 북한문화유산들을 소개하였고, 끝으로 부록에서 북한문화유산 관계법령도 수록하여 참고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