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봉림사지발굴조사보고(昌原鳳林寺址發掘調査報告)
- 보고서유형분류
- 조사연구보고서
- 발행년도
- 2000 년
- 형태사항
- 255p
- 저작권자
-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
초록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초록
경남 창원시 봉림동 소재 鳳林寺址에 대한 발굴조사를 1995년부터 1998년까지 4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창원 봉림사지는 중심지번인 봉림동 165번지 등 5필지 약6,978㎡가 경상남도 기념물로 1993. 12. 27일 지정되었다. 창원 봉림사지가 널리 알려져 온 것은 보물로 지정된 眞鏡大師 부도와 부도비 때문이지만, 라말여초의 구산선문 중 하나로 자리잡...
경남 창원시 봉림동 소재 鳳林寺址에 대한 발굴조사를 1995년부터 1998년까지 4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창원 봉림사지는 중심지번인 봉림동 165번지 등 5필지 약6,978㎡가 경상남도 기념물로 1993. 12. 27일 지정되었다. 창원 봉림사지가 널리 알려져 온 것은 보물로 지정된 眞鏡大師 부도와 부도비 때문이지만, 라말여초의 구산선문 중 하나로 자리잡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봉림사지에서 반출된 것으로 알려진 상북초등학교 내의 삼층석탑(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도 있다. 그러나 九山禪門 중의 하나로 알려진 대가람이 그 흔적도 없이 경작지로 변하여 버리고, 단지 일제시대에 眞鏡大師 부도와 비를 옮겨갔다는 이건비와 수미산으로 여겨지는 조산만이 제 자리에 남아 옛날의 영화를 대변해 주고 있을 뿐이다. 그리하여 계단식 경작지로 변하여 버린 그 자리에 봉림사의 흔적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봉림사지로 확인된다면 사찰의 구조와 규모, 성격파악에 그 주안점을 두고 경남의 수부 도시인 창원에 그 香火를 다시 피울 수 있도록 정비 복원 자료를 확보하는데 목적을 두고 4차례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