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암 발굴조사보고서(獅子菴 發掘調査報告書)
- 발행년도
- 1994 년
- 형태사항
- 354p
- 저작권자
-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
초록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초록
백제 및 통일신라시대의 사자사터로 알려져 온 사자암에 대한 발굴조사 보고서로 미륵사지의 배경이 되는 미륵산(일명 용화산)의 8부능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발굴조사는 1993년 2월 23일부터 3월 24일, 이어 5월 4일부터 9월 3일까지의 2차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조사결과 건립당시의 건물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獅子寺」란 명문기와가 출토되어 역사기록에 나타나...
백제 및 통일신라시대의 사자사터로 알려져 온 사자암에 대한 발굴조사 보고서로 미륵사지의 배경이 되는 미륵산(일명 용화산)의 8부능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발굴조사는 1993년 2월 23일부터 3월 24일, 이어 5월 4일부터 9월 3일까지의 2차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조사결과 건립당시의 건물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獅子寺」란 명문기와가 출토되어 역사기록에 나타나는 백제시대의 절터였음이 분명해졌고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적어도 5차례 정도의 개축이 이루어져 왔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곳에서는 백제시대의 기와류, 통일신라시대의 토기류, 삼국시대 및 고려시대의 불상과 불구류 등 유물들이 출토되었는데, 이들 시대를 달리하는 다양한 유물들은 당시의 문화상을 파악하는데 매우 귀중한 학술연구자료를 제공하여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