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寺刹의山神信仰연구
- 보고서유형분류
- R&D 용역보고서
- 발행년도
- 1996 년
- 형태사항
- 158쪽/26cm
- 저작권자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초록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사찰의 산신신앙이 어떤 과정으로 민속으로부터 수용되었으며, 그 신앙의례는 어떠한 것인지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오늘날 한국의 전통사찰에는 불교본연의 예배의 대상이 되는 불당 이외에 재래의 토속신을 모신 전당이 여럿 있지만, 그중에서도 산신각은 우리나라 고유의 토착 신앙과 밀접한 관련을 보이고 있는 좋은 예이다. 한국불교의 중요한 특색...
본 연구는 한국 사찰의 산신신앙이 어떤 과정으로 민속으로부터 수용되었으며, 그 신앙의례는 어떠한 것인지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오늘날 한국의 전통사찰에는 불교본연의 예배의 대상이 되는 불당 이외에 재래의 토속신을 모신 전당이 여럿 있지만, 그중에서도 산신각은 우리나라 고유의 토착 신앙과 밀접한 관련을 보이고 있는 좋은 예이다. 한국불교의 중요한 특색이라 말할 수 있는 산신신앙은 본래는 불교 수용 이전부터 있어온 재래의 민속신앙이었으며, 불교 본연의 경전에서는 산신과 관련된 근거를 찾아볼 수가 없다. 그런데도 웬만큼 규모를 갖추었다는 사찰에는 반드시 산신각이 있으며, 만약 산신각이라는 당우가 따로 설치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다른 전각에라도 산신탱화를 봉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