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청댐수몰지구유적발굴보고서
- 보고서유형분류
- 조사연구보고서
- 발행년도
- 1979 년
- 형태사항
- 208쪽/26cm
- 저작권자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초록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초록
이 보고서는 대청댐 건설로 인하여 수몰위기에 처한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기록이다. 보고서는 충북대학교박물관이 1977년∼1978년에 걸쳐 50일간 발굴조사한 청원 샘골 구석기유적, 옥천 안터 고인돌유적, 청원 아득이유적 등 세 유적과 당시 문화재연구소가 1977년도에 조사한 금생사지(金生寺址)에 대한 기록으로 나뉘어 있다. 청원 샘골 구석기유적에서는 찍개...
이 보고서는 대청댐 건설로 인하여 수몰위기에 처한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기록이다. 보고서는 충북대학교박물관이 1977년∼1978년에 걸쳐 50일간 발굴조사한 청원 샘골 구석기유적, 옥천 안터 고인돌유적, 청원 아득이유적 등 세 유적과 당시 문화재연구소가 1977년도에 조사한 금생사지(金生寺址)에 대한 기록으로 나뉘어 있다. 청원 샘골 구석기유적에서는 찍개·찌르개·긁개·밀개 등의 구석기유물이 출토되었으며, 옥천 안터 고인돌유적에서는 고인돌 1기와 선돌 1기가 조사되었다. 청원 아득이유적에서는 성혈(性穴)이 있는 고인돌 1기와 선돌 1기, 석관묘 1기, 석곽묘 2기 등 선사시대 유적이 조사되었다. 청원군 문의면 덕유리에 위치한 김생사지는 조사결과 통일신라시대의 명필가인 김생(AD 710∼791)과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사찰로 보이나, 건물지나 와당 등 출토유물로 보아 중심연대는 고려시대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