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용어명 석곽묘(石槨墓)
설명 돌로 곽을 만들어 그 내부에 관과 부장품을 수납하도록 만든 구조이다. 매장방식과 관련하여 수혈식석곽묘라고도 한다. 한편 횡구식 가운데 소형의 것도 석곽묘로 부르기도 한다. 석곽묘는 청동기시대에 출현하여 주로 사용되나 초기철기시대와 원삼국시대에는 일반적인 묘제로 볼 수 없고 고구려를 제외하면 삼국시대 특히 5세기가 되어서야 보편적인 묘제로 채용된다. 영남지역에서의 석곽묘의 출현은 초기 형식이 목개인 점, 석곽의 벽이 정연하지 못한 점에서 목곽묘의 뒤채움에 사용되던 할석이 곽벽으로 바뀐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일본열도의 고분시대에는 장대한 석곽묘가 조영되나 이미 3세기 후반에 출현하고 한반도의 석곽묘와는 달리 관을 안치하고 조영되는 점에서 양자는 계통을 달리한다.(박천수)
참고문헌
구분 용어
사전명 한국고고학 전문사전(고분편)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개방한 석곽묘(石槨墓)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 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