괘불의 조사연구

괘불(掛佛)은 높이 수 미터에서부터 수십 미터에 이르는 거대한 화폭 위에 부처님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석가탄신일, 영산재(靈山齋), 예수재(預修齋), 수륙재(水陸齋) 등 야외에서 불교 의식을 거행할 때 법당 밖에 걸어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게 하였다. 제작 기원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후 죽은 이의 영혼을 달래는 대규모 천도의식이 열리면서 본격적으로 조성된 것으로 본다.
국립문화재연구원 미술문화재연구실(구 미술공예실)에서는 1985년부터 2001년까지 전국 사찰에 소장된 53건의 괘불(掛佛)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장기간의 조사를 통해 불교회화의 기초자료를 확보하였음은 물론 괘불에 대한 문화재적 가치를 밝혀 국가지정 문화재로 지정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때의 연구 성과는 『괘불조사보고서』1,2,3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문화재청은 (사)성보문화재연구원, 국립문화재연구원과 함께 〈대형불화 정밀조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5년부터 2024년까지 10년에 걸쳐 실시하는 대형불화 정밀조사 사업은 전국 사찰과 개인이 소장한 괘불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괘불의 원형정보를 기록,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 전하고 있는 괘불탱은 120건으로 국보 7건, 보물 55건, 시도유형문화재 26건, 시도문화재자료 2건, 등록문화재 9건, 비지정 21건이 확인된다.
* 〈개암사 영산회 괘불탱 초본〉은 전체 건수에 미포함
괘불탱 지역별 지정현황(2023년 기준)
구분 | 소계 | 서울 | 경기 | 강원 | 충북 | 세종 충남 |
전북 | 전남 | 대구 경북 |
부산 경남 |
|
---|---|---|---|---|---|---|---|---|---|---|---|
합계 | 120 | 28 | 15 | 2 | 4 | 13 | 8 | 13 | 19 | 18 | |
지정현황 | 국보 | 7 | 1 | 1 | 3 | 1 | 1 | ||||
보물 | 55 | 2 | 3 | 3 | 8 | 4 | 10 | 17 | 8 | ||
시도유형 | 26 | 16 | 6 | 2 | 1 | 1 | |||||
시도문화재자료 | 2 | 1 | 1 | ||||||||
국가등록문화재 | 9 | 1 | 1 | 1 | 2 | 1 | 3 | ||||
비지정 | 21 | 8 | 4 | 2 | 2 | 2 | 4 |
(자료참고: 성보문화재연구원)
괘불의 도상 형식
괘불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석가모니불의 모습을 도해한 것으로,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되었다.
독존도(獨尊圖)는 화면 중앙에 단독으로 석가모니불만 표현한 형식으로 대부분 입상으로 그려지는데 조성시기가 가장 이른 죽림사 세존 괘불탱(1622)만이 유일하게 좌상으로 그려졌다.
다존도(多尊圖)는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三尊, 五尊, 七尊, 九尊으로 구성된 형식이다.
삼존도는 중앙의 석가모니불과 좌우 협시보살인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배치하였다. 오존도는 삼존도 사이로 석가모니불의 제자인 가섭존자와 아난존자를 합장한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칠존도는 오존도를 기본으로 석가모니불 좌우에 다보불과 아미타불이 추가로 배치된 형식이다.
구존도는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협시하고, 석가모니불의 두광 주위로 다보불과 아미타불,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 가섭존자와 아난존자를 배치하였다. 이것은 영산재 의식에 필요한 필수 인원을 도상화한 것이다.
군도(群圖) 형식은 석가모니불이 영축산에서 제자들에게 설법하는 장면을 나타낸 것으로 많은 권속(眷屬)들이 표현되어 있다.
중앙의 본존불을 중심으로 좌우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위치하고, 화면 상・하단으로 팔대보살과 십대제자, 사천왕과 팔대금강 등이 함께 그려져 거대한 영산회상의 모습을 보여준다.
다불회도(多佛會圖)는 삼세불, 삼신불, 삼불회, 오불회 등으로 석가모니불 이외에도 다양한 시공간(時空間)과 불세계(佛世界)에 존재하는 부처의 모습을 표현한 형식이다.
석가모니불과 같은 격(格)으로 존재하는 여래불(아미타불, 약사불, 노사나불, 비로자나불)을 화면의 동일선상에 일렬로 배치하여 같은 위계를 나타내거나 화면 중앙의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같은 격의 여래불을 화면 상단에 작게 배치하여 역삼각형 구도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도 머리에 보관(寶冠)을 쓰고 신체를 아름답게 꾸민 부처님이 등장하는 장엄신 괘불(莊嚴身掛佛)은 일반 불화에서는 보기 힘든 괘불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적인 도상이다.
진리를 깨달은 직후 설법하는 노사나불의 형태와 영산회상에서 꽃을 들어 보이는 두 가지 유형으로 제작되었다.
영산회상도 | 독존도 | 삼존도 | 오존도 | 칠존도 |
---|---|---|---|---|
![]() |
![]() |
![]() 괘불탱(1705) |
![]() 괘불탱(1700) |
|
구존도 | 군도 | 다불회도 | ||
![]() 괘불탱(1722) |
![]() 괘불탱(1653) |
![]() |
||
장엄신 괘불 |
![]() |
![]() |
괘불의 채색 정보
괘불(掛佛)은 17세기부터 1945년까지 제작되었으며 120점이 현존한다. 괘불은 크기 및 규모로 인해 이동이 쉽지 않아 쉽게 볼 수 없다.
이에 2015년부터 (사)성보문화재연구원과 국립문화재연구원에서는 공동으로 《대형불화 정밀조사 사업》을 추진, 괘불의 학술적・예술적 가치를 밝히고 과학적으로 보존・복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괘불의 보존・복원을 위해서는 어떤 재료로 어떻게 제작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괘불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방법인 비파괴 분석 방법을 통해 괘불의 제작 재료를 조사하고 있다.
그 중 채색 재료는 크게 안료와 염료로 구분된다. 안료는 유기용제, 기름, 수지, 물 등에 용해되지 않으며 염료는 물 또는 유기용제에 녹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채색 재료의 조사는 괘불의 전체적 보존 및 표면 상태를 확인하고 수리 및 안료의 박락 부분을 고려하여 색상별로 분석 위치를 선정하여 수행했다.
안료의 입자 형태와 크기, 채색 상태(단독 또는 혼합 사용 여부 등)를 확인하기 위해 휴대용 현미경을 이용해 관찰했으며 안료의 주성분 분석은 휴대용X선형광분석기를 이용했다.
분광 광도계로 단독 또는 혼합된 안료의 색차를 측정했으며 휴대용X선형광분석기로 검출되지 않는 유기 염료(특히 쪽(藍)과 먹)는 자외선-가시광선 분광 광도계로 분석했다.
조사를 통해 사용이 확인된 채색 재료는 다음의 표와 같다.
대형불화에 사용된 색상별 채색 재료
색상 | 채색 재료 | 화학식 | ||
---|---|---|---|---|
적색 | 진사(辰砂) | Cinnabar | [HgS] | |
연단(鉛丹) | Minium | [Pb3O4] | ||
석간주(石間硃) | Seokganju | [Fe2O3], [Fe2O3∙nH2O], [FeO∙(OH)] | ||
백색 | 연백(鉛白) | Lead White | [2PbCO3∙Pb(OH)2] | |
백토(白土) | White Clay | [Al2O3∙2SiO2∙2H2O] | ||
활석(滑石) | Talc | [Mg3Si4O10(OH)2] | ||
호분(胡粉) | Oyster Shell White | [CaCO3] | ||
운모(雲母) | Mica | [K(OHF2)2Al3Si3O10] | ||
지당 | Titanium White | [TiO2] | ||
흑색 | 먹(墨) | - | [C] | |
녹색 | 석록(石綠) | Seokrok | [CuCO3∙Cu(OH)2] | |
[Cu2Cl(OH)2] | ||||
양록(洋綠) | Emerald Green | [Cu(C2H3O2)∙3Cu(AsO2)2] | ||
청색 | 군청(群靑) | Ultramarine Blue | [3Na2O∙3Al2O3∙6SiO2∙2Na2S] | |
석청(石淸) | Azurite | [2CuCO3·Cu(OH)2] | ||
회청(回靑) | Smalt | [SiO2∙K2O∙CoO∙(Co,Ni)As3] | ||
감청(紺靑) | Prussian Blue | [Fe7(CN)18(H2O)x] | ||
쪽(泥藍) | Indigo, Niram | [C6H10N2O2], [C2H10N2O∙CaCO3] | ||
황색 | 석황(石黃) | Orpiment | [As2S2] | |
황토(黃土) | Hwangtoh | [Al2O3∙2SiO2∙2H2O+Fe2O3] | ||
등황(橙黃) | Gamboge | [C38H64O24] | ||
기타 | 금 | Gold | [Au] | |
은 | Silver | [Ag] |
- 담당부서 : 미술문화재연구실
- 담당자 : 박지영
- 문의 : 042-860-9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