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록 :
-
이 연구에서는 영산강유역의 대표적인 옹관고분들이 지닌 다양한 특성들을 자연과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검토하고 대형옹관 소비유적의 다양한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하였음. 이를 위해 크게 유적의 자연환경적 입지특성, 출토 옹관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소비유적 일대 태토산지 특성을 종합과학적으로 고찰하였음.
영산강유역 고분 출토 옹관은 물리적, 현미경적,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으로 상당히 공통된 특성을 공유함. 대부분 층상운모를 포함한 석영과 정장석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 그러나 마산 고분군 및 청송리 옹관고분 일부 옹관시료는 층상운모를 포함하지 않고 화학조성에서 미소한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고찰은 심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 연구를 통해 영산강유역의 옹관고분들은 나주 메인지역을 제외하면 지역색이 뚜렷하게 확인되지 않고 유
적별로 다양한 특성들을 보여줌. 특히, 나주 장등, 송월동 및 장동리 유적과 해남지역의 옹관은각 유적별로 명확한 특성을 나타냄.
함평을 제외한 영암, 나주 반남 및 무안지역의 토양은 해당유적의 옹관편과 광물학적 특성이 대체로 일치하고 있어 태토산지의 지역별 존재 가능성을 토의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