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으로 찾기

- 대분류명
- 강당지 북편건물지
- 소분류명
- [E1] 강당지 북편건물지(북승방지)
설 명
1. 개요 이 건물지는 강당지 북쪽에 위치하고 조사 전까지 논으로 경작되었으며 논뚝에는 군데군데 화강석재가 놓여있었다. 지표면은 사역의 북쪽으로 가면서 조금씩 높아진다. 그리고 건물지 북쪽에는 50년 된 소나무 한그루가 있고 이것의 동편에는 우물과 돌로 된 수조가 있었다. 소나무가 서있는 북쪽에는 민가가 있었던 곳이다. 건물지의 기단은 면석과 갑석으로 되어 있으나 갑석은 남아있는 게 없고 면석만 일부 남아 있으며 확인된 현존 기단 길이는 동서 160m, 남북 14m로 조사되었다. 초석은 원형초석에 주좌가 있는 것과 없는 것, 2개의 종류가 있고 아랫부분은 원추형으로 되어 있다. 남아 있는 초석으로 유추하면 동서와 남북 모두 260㎝인 동서 8칸, 남북 2칸으로 볼 수 있고 남북으로 1칸씩이 더 있는 남북 4칸으로도 추정하기도 한다. 이 건물지는 강당지 북쪽에 동서로 길게 놓여 일부는 승방으로 사용, 일부는 간단한 도구를 만드는 작업장 또는 창고로 추측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는 군수리사지와 금강사지에도 볼 수 있다. 이는 소위 삼면승방(三面僧房)이라 하여 일본의 고대 사찰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2. 세부설명 가. 평면 평면의 형태는 동서 8칸까지 확인하였고 남북은 발굴된 것 2칸에 남북 양측 퇴칸은 추정하여 총 4칸으로 보고 있으며 주칸 거리는 각각 정면이 260㎝, 측면이 260㎝이다. 동단부에서 동원 승방지와 동일 형태의 유구를 확인하였고 한 변이 6m의 방 2기가 한 조를 이루고 있다. 방 2기로 한 조를 이루는 각 방과의 사이는 200㎝의 공간으로 마루와 같은 공간시설을 위한 의도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나. 기단 기단은 승방지와 회랑지 같이 면석·갑석으로 구성되었다. 기단의 동서는 160m(서쪽 증축 전 133.40m)이고, 남북은 14m의 크기이다. 초기에 서단부도 서원승방지 서편기단과 일직선상이었다면 현존 기단보다 서쪽이 짧아졌을 것으로 보인다. 기단의 서쪽 증축부도 기단 구조, 크기, 석재 치석 등에서 큰 차이 없다. 기단 면석의 크기는 두께 33㎝, 길이 85~180㎝로 지표에서 23㎝노출되어 있다. 북측기단 서편은 기단 빠진 흔적만 확인되었고 남측기단은 면석과 잡석으로 된 기단선이 노출되어 초석 윗면보다 30㎝가량 높게 자리함으로 후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 건물지에 해당되는 게 아닌 것으로 보인다. 동단부 기단은 동원승방지 동편기단과 남북방향 일직선상이며 방 벽면과 기단과의 거리는 400㎝정도 이다. 다. 초석 원형주좌의 원형초석으로 건물지 동편과 서편의 양 끝단에 있다. 동편은 초석 1개와 적심 2개소를 확인하였고 직경 60㎝인 원형초석에 38㎝크기의 원형주좌가 배치되어있다. 서편초석은 22개로 크기가 직경 60~70㎝이고 주좌 직경 40~45㎝이다. 주좌 없는 원형초석의 크기는 직경 70㎝로 창건 년대가 떨어지는 후대건물지로 판단된다. 초석 사이에 30~40㎝ 크기 잡석의 석렬이 있는데 이것은 벽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라. 출토유물 대형토기 3점이 출토되었는데 안에는 물, 초본류(草本類), 와편(瓦片) 등이 있어 저장시설로 추정되었다. 또한 소토선(燒土線)이 각이 없는 장방형 모양으로 3곳에서 노출이 되고 이 안에 와편, 탄화미, 소토(燒土)가 발견되어 1986년 사역서변에서 확인된 공방지의 시설과 유사, 간단한 도구를 만들던 작업장과 같은 시설로도 추정되었다. 마. 기타 가람 남북중심축 인근 기단토 아래 잡석이 깔려 있고 동쪽 주변에 일부 중복 된 통일신라 및 백제 시대 수로 유구가 있다. 미륵사지 수로의 기능을 하는 시설물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첫 번째는 사역 중심곽을 중심하여 동서편으로 각각 능선 안쪽으로 대형 수로를 조성한 것이고 두 번째는 각 건물지의 중요한 요소마다 기단 하부에 암거(暗渠)를 마련, 이를 통한 배수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각 건물배치 이전 지하에 암거를 남북으로 길게 조성하여 지하로 스며들거나 수맥 등으로 생성된 물을 처리하였다.

이미지
전체 137개 | 페이지 (1/18)
도면
- 북승방지 평면 및 단면도 VIEWER 보기
- 축대 북편건물지 토층도 VIEWER 보기
- 남북 석렬 유구 VIEWER 보기
- 남북 탐색 Tr.내 배수로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서북측 건물지 9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서북측 건물지 9 VIEWER 보기
- 유구 VIEWER 보기
- 석렬 유구 VIEWER 보기
- 남북 석렬 유구 VIEWER 보기
- 남북 석렬 유구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및 동편 배수로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및 건물지 10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및 건물지 10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서편 건물지 9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남북 석렬 유구 및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기단 내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및 남북방향 담장 VIEWER 보기
- 집수정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남측 축대 및 배수로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남측 축대 및 배수로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남측 축대 및 배수로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남측 축대 및 배수로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남측 축대 및 배수로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남측 축대 및 배수로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남편 동서 방향 축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남편 동서 방향 축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남편 동서 방향 축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남편 동서 방향 축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남편 동서 방향 축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남편 동서 방향 축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남편 동서 방향 축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남편 동서 방향 축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남편 동서 방향 축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남편 동서 방향 축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남편 동서 방향 축대 VIEWER 보기
- 북 승방지 남편 동서 방향 축대 VIEWER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