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태황제홍릉표(高宗太皇帝洪陵)
- 시대
- 일제강점기
- 연대
- 1922년
- 유형
- 비문
- 크기
- 전체높이 395.0 비신높이 190.0
- 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41-3 홍유릉홍릉
- 서체
- 전서(篆書)
- 찬자 /각자 /서자
- 미상 / 미상 / 미상
- 지정사항
- 비지정유산
- 연구정보
개관
고종태황제 홍릉표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위치하고 있다. 홍릉은 조선 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인 고종(高宗, 1852~1919) 과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 閔氏, 1851~1895)의 능이다. 고종이 승하한 1919년은 일제에게 주권을 빼앗긴 때여서 고종은 능호(陵號)를 받지 못하고 명성황후의 능호였던 홍릉을 그래도 쓰고 있다. 고종은 흥선군(興宣君) 이하응(李昰應)과 군부인 여흥 민씨(驪興閔氏)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1863년 철종이 후사 없이 죽자, 익종의 양자로 입적되어 익성군의 군호를 받고 곧바로 왕으로 즉위하였다.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한 후 명나라의 황제릉 양식과 조선의 왕릉 양식을 접목하여 1901년 조성한 수릉(壽陵)으로 조선의 다른 능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제는 고종의 비석에 쓴 ‘대한 고종태황제’가 옳지 않다며 비석을 세우지 못하게 하였는데, 능참봉(陵參奉)이 눕혀져 있던 비석을 몰래 세웠다고 한다. 비는 머릿돌과 비신, 받침돌로 구성되었고 머릿돌은 팔작지붕의 형태이다. 비각(碑閣)이 건립되어 있어 보존 상태는 매우 양호하다. 비신 후면(後面)에는 비석을 긁어낸 흔적이 있다.
판독문/해석문
전체 2개
해석문 | 『조선왕릉 디지털백과』 | ||
판독문 | 『조선왕릉 디지털백과』 |
참고문헌
전체 2개 / 페이지 ( 1 / 1 )
단행본 | 2016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 석물조각사Ⅰ』 |
단행본 | 2015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실 원묘 종합학술조사보고서 Ⅸ』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