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종명릉표(肅宗明陵表)
- 시대
- 조선
- 연대
- 1720년(경종 원년)
- 유형
- 비문
- 크기
- 전체높이 284.0 비신높이 161.0 너비 69.7 두께 31.4
-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475-95 서오릉
- 서체
- 전서(篆書), 해서(楷書)
- 찬자 /각자 /서자
- 미상 / 미상 / 미상
- 지정사항
- 비지정유산
- 연구정보
개관
숙종 명릉표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 19대 왕인 숙종과 인현왕후 민씨의 생애를 기록한 비로, 1720년(경종 1)에 세워졌다. 숙종은 1661년(현종 2) 8월 15일에 탄생하였고, 1674년(숙종 1)에 즉위하였다. 1720년(숙종 46) 6월 8일에 승하하니, 재위가 46년이고 향년은 60세이다. 계비 효경 인현왕후 민씨는 1667년(효종 8) 4월 23일에 탄생하였고, 1681(숙종 7)에 왕비로 책봉되었다. 1701년(숙종 27) 8월 14일에 승하하니, 향년은 35세이다. 인현왕후가 죽은 뒤에 묘지를 정하고 명릉이라 하였고, 그 뒤 1720년 숙종이 죽자 나란히 묻었다. 숙종은 1674년에 14살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올랐으나 총명하고 영특하여 수렴청정을 받지 않았다. 서인과 남인 정권을 이용하여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였고, 전국적인 대동법(大同法) 실시와 양전(量田)의 실시, 화폐주전을 통용하는 등 경제정책에 전력을 다하였다. 1712년(숙종 38)에는 백두산정계비를 세워 국경선을 확정시켰고, 단종과 정순왕후를 복위하였다. 비는 머릿돌과 비신, 받침돌로 구성되었고 머릿돌은 팔작지붕의 형태이다. 비각(碑閣)이 건립되어 있어 보존 상태는 매우 양호하다.
판독문/해석문
해석문 | 『조선왕릉 디지털백과』 | ||
판독문 | 『조선왕릉 디지털백과』 |
참고문헌
단행본 | 2016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 석물조각사Ⅰ』 |
단행본 | 2014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Ⅵ]』 |
단행본 | 1988 | 조동원 편저, 『韓國金石文大系. 卷5 : 京畿道篇』, 圓光大學校出版局, 1988 |
- 담당부서 : 미술문화유산연구실
- 문의 : 042-860-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