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공사별 목록
문화재명 양산 통도사 봉발탑 및 삼층석탑     
문화재유형 유적.건조물-석탑 [ 석조-석탑 ]
소재지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 [ 경상남도 ]
공사명 봉발탑 보존처리,삼층석탑 보존처리
공사기간 2011-08-22 ~ 2011-12-19
공사유형 부분해체수리 [ 부분 해체수리 ]
시행처 양산시청
시공사 교남문물보존연구소
보고서 2010년 2012년 문화재수리보고서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공사내용 가.사업지침
ㅇ 관계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봉발탑 및 삼층석탑을 보존처리한다.
나.사업내용
1)예비조사
- 보존처리 공사 전 반드시 예비 조사를 통해 석물의 현황을 면밀히 파악하고 그에 합당한 시공 준비를 하도록 한다.
- 석물에 대한 자세한 관찰과 정확한 손상부위 및 오염상태 등을 기록하고 사진촬영을 실시하여 작업의 순서와 처리 범위를 결정하고,임상실험을 통한 구체적인 적용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 훼손의 유형과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풍화훼손도를 작성한다.
2)예비실험
- 보존처리에 사용되는 방법들이 통도사 봉발탑 및 삼층석탑에 적용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예비실험을 실시하였다.판석의 일부에 구역을 설정한 후,건식세척,습식세척,살생물제 도포,발수경화제 도포 순으로 예비실험을 실시하고,3일간 양생한 후 경과를 지켜보았다.
3)건식,습식 세척
- 건식세척은 붓으로 먼지를 제거한 후,여러 종류의 대나무 헤라와 소도구,경우에 따라 메스 등을 이용하여 이끼 및 지의류,이물질 등 오염물질에 대상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거한다.그 후 부드러운 솔을 이용하여 잔류 먼지 및 이물질 등을 제거 한다.
- 세척에는 화학약품을 가능한 사용을 억제하도록 하고 부득이하게 화학약품을 사용하였을 경우 물을 사용하여 중화처리 하도록 한다.
4)균열부 수지처리
- 석재의 균열부에 대해 석재용 수지(L-30,주제+경화제)로 수지처리 하였다.
- 수지 경화 후 석조물의 훼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지의 농도를 연하게 하도록 하고 이는 착공 전 자문을 받아 농도를 결정하도록 하였다.
- 균열이 심한 부위에 대해서는 충전재(석분,탈크,실리카파우더 등)을 사용하고 상황에 따라 원부재와 같은 석종의 암석을 빻아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 수지 접합 시 석재 간 미세한 틈을 처리하는 등 디테일한 작업을 요할 시 치과용 소도구를 이용해 처리하였다.
- 접합 및 충전된 부위에 대해서는 아크릴 물감이나 고색처리용 안료를 이용하고 기존의 석질과 이질감을 주지 않도록 표면정리 하였다.
5)발수경화제 도포
- 살생물제 도포가 끝나고 완전히 건조된 후에 발수경화제를 분사하였다.석재 표면에 박리,박락 현상이 나타나 강도가 저하된 것으로 판된되어 강화제를 사용하여 공극률을 감소시켜,석재의 기계적 풍화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켜 주도록 하였다.
공사관계자 1.공사감독:양산시청 문화관광과 시설7급 박태일
2.현장대리인:문화재보존과학기술자 제986호 이수희
3.연구책임자:이수희,임권웅
4.연구원:성승주,박규만,김다람,정성윤
5.보조연구원:황은영,김장수
도면/사진 도면 ( 0 건)
사진 ( 0 건)

문화재청 이(가) 개방한 양산 통도사 봉발탑 및 삼층석탑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제1유형 : 출처표시,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만족도 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건축문화재연구실
  • 담당자 : 최향선
  • 문의 : 042-860-9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