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공사별 목록
문화재명 창녕 관룡사 대웅전     
문화재유형 유적.건조물-사찰
소재지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관룡사길 171 [ 경상남도 ]
공사명 대웅전 단청 모사
공사기간 2010-09-15 ~ 2011-06-11
공사유형 부분해체수리 [ 부분 해체수리 ]
시행처 문화재청,창녕군청
시공사 사단법인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보고서 2010년 2012년 문화재수리보고서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공사내용 가.사업지침
ㅇ 관계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대웅전 단청 모사도를 작성하고 보고서를 발간한다.
나.사업내용
1)자료수집 및 현장조사
- 관룡사의 창건 및 중수 등 연혁과 관련된 문헌자료를 대상으로 대웅전 내부 단청과 관련된 기록을 수집하고 기존에 소개된 자료를 포함하여 새롭게 조사된 내용을 추가하여 정리하였다.
- 관룡사 대웅전 내부 단청의 현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단청 현황 및 특이사항 등을 기록하여 자료화하고 이를 토대로 모사대상을 선정하였다.
2)정밀 사진촬영
- 대웅전 내부 단청과 벽화의 현 상태를 이미지 자료로 남기기 위하여 각종 촬영 장비로 정밀 사진촬영을 시리하였다.
- 촬영 장비로는 고화소 디지털카메라,렌즈,조명장치,조도계 등을 사용하였다.
3)강관비계 및 안전장치 설치
- 정확한 도면작성을 위하여 단청이나 벽화가 그려져 있는 부재와 최대한 근접하게 강관비계 및 안전장치를 설치하였다.
4)안료분석
- 관룡사 대웅전 내부 단청에 사용된 안료의 성분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파괴 과학적 조사방법인 X-선 형광분석을 실시하였다.
- 안료분석 장비로는 휴대용 형광 X-선분석기를 이용하여 안료의 표면 성분을 분석하였다.
- 분석조건은 50kV,200㎂에 분석시간은 100sec,collimator는 2mm를 사용하였으며 정확한 분석값을 도출하기 위해 동일한 측정부분을 3회 걸쳐 반복 측정하였다.
5)적외선 조사
- 육안으로 식별이 불가능한 단청문양이나 현재의 채색층 아래 이전의 단청문양이나 묵서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적외선 촬영 조사를 실시하였다.
6)전사도면 작성
- 정밀한 도면 작성을 위하여 전사도면 작성 대상 부재 표면의 먼지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채색층의 박락이 관찰되는 곳은 작은 붓을 이용하여 털어내었다.
- 단청의 도채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단청문양의 크기보다 여유 있게 전사지를 재단하여 부착한 후,부착된 전사지 위에 샤프와 연필을 이용하여 단청의 현상을 정확히 베껴 내었다.
7)잉킹도면 작성
- 전사도면의 장기보존을 위하여 전사도면 위에 동일한 크기의 확산필름을 올려놓고 먹과 면상필을 이용하여 문양의 형태,선의 굵기,간격 등을 1:1 비율로 옮겨 그렸다.
8)한지에 초 내리기
- 모사도 제작을 위하여 잉킹한 도면 위에 수작업으로 제작된 천연한지를 올려놓고 먹과 면상필을 사용하여 도면의 현상을 떠내었다.
9)초지 배접 및 아교포수
- 모사도의 온습도 변화나 변색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초지 뒷면에 배접을 실시하였다.
- 배접은 천연 순지를 두 겹으로 배접하고 마지막으로 순지에 출조한 한지를 배접하여 총 3배접으로 실시하였다.
- 배접이 마른 후 채색의 착색을 높이기 위하여 두번에 걸쳐 아교포수를 실시하였다.
- 아교는 일본산 교액을 사용하였고,아교와 물을 1:8 비율로 희석하여 도포하였다.
10)조채
- 조채는 모사도와 실제 단청 색상과의 차이를 없애기 위하여 현장에서 직접 실시하였다.
- 실제 색상에 맞추어 PANTONE과 안료를 색상별로 분리한 뒤 조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조채색표>를 작성하였다.
11)부분 모사도 작성
- 부분 모사도 제작은 현장에서 이루어졌으며 단청에 채색된 도채면의 범위를 고려하여 그 크기를 달리하며 모사하였다.
- 모사 시 모사대상이 되는 부재와 모사도면을 최대한 근접하게 하여 여러 차례 비교,검토를 거친 후 실제 현상에 가까운 부분 모사도를 작성하였다.
12)채색 및 모사
- 현장에서 조채된 안료를 묽게 사용하여 3번 이상 초벌채색을 실시하였다.
- 단청의 도채면 중 안료의 퇴색이나 변색,박락 등을 고려하여 가장 밝은 부분의 색상에 맞추어 초벌채색을 마무리 하였다.
- 동일한 색상의 채색면이라 하더라도 변색이나 탈색으로 인한 부분적인 색상의 차이는 경계면이 뚜렷하게 나타나 있지 않으므로 물붓을 사용하여 바림기법으로 모사하였다.
공사관계자 1.공사감독:창녕군청 문화체육과 최기영
2.자문위원:원광대 교수·문화재청 문화재위원 김정희
문화재청 상근전문위원 이천우
문화재청 상근전문위원 손영문
도면/사진 도면 ( 0 건)
사진 ( 0 건)

문화재청 이(가) 개방한 창녕 관룡사 대웅전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제1유형 : 출처표시,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만족도 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건축문화재연구실
  • 담당자 : 최향선
  • 문의 : 042-860-9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