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내용 |
가.사업지침
ㅇ 관계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대웅전 단청 기록보존 및 보고서를 발간한다.
ㅇ 불갑사 대웅전 내부단청과 벽화를 대상으로 1:1 전사도면 및 모사도를 작성하여 원형복원의 기초자료를 마련함과 동시에 향후 멸실·훼손에 대비한 복원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나.사업내용
1) 모사도 작성
ㅇ 초지작성
- 잉킹도면 위에 지리산에서 전통방식으로 제작한 천연한지를 올려놓고 먹과 면상필을 이용하여 잉킹도면의 단청 문양을 1:1 크기로 형태,선의 굵기,간격 등이 동일하게 초지를 작성하였다.
- 실제 문양과 최대한 동일하게 초지를 작성하고 색상의 경계,채색흔적,균열,박락,오염 현상부분은 먹의 농도를 약간 묽게하여 보다 가는 선으로 초지를 작성하였다.
ㅇ 초지 배접 및 아교포수
- 모사도의 바탕 면은 온습도 변화나 변색에 대한 내구성을 위하여 단백질이 충분히 제거된 삭힌 풀을 이용하여 배접지-배접지-초지 순으로 3배접하였다.
- 바탕 면이 충분히 건조되면 채색의 착색을 놓이기 위하여 아교를 묽게 하여 2회 아교 포수 하였으며 아교포수 후 바탕면을 충분히 건조시켰다.
2)모사도 작성
- 채색은 물감의 농도를 묽게 하여 여러 차례 걸쳐 채색하였다.
- 단청 도채면의 퇴색 및 변색으로 인한 색의 변화는 색상별로 3단계의 색상 표를 작성하고 색상 표를 기준으로 채색하였다.
3)1차 보강조사
- 불갑사 대웅전 내부단청의 실제 현상과 최대한 동일하게 모사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3회의 보강조사를 실시 보강조사는 모사도 작성 대상 단청문양과 작성 중인 모사도를 현장에서 1:1 대조하는 방법으로 모사도 작성 중 색상차이의 보정부분 등을 점검하여 현장에서 보완하는 방식으로 실시했다.
4)2차 보강조사
- 1차 보강조사 시 미흡했던 부분을 모사도와 실제 벽화를 비교 검토해가며 현장에서 바로 수정하였다.
5)정밀사진 촬영
- 완성된 모사도를 고화소 디지털카메라,조명장치,조계도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정밀사진 촬영 하였다.
6)모사 결과물 포장
- 완성된 모사도는 장기적으로 보존관리 활용도 제고를 위해 족자 형태로 포장하였다.
7)보관함 제작 및 모사기 부착
- 모사도 결과물은 안전과 효율적인 보존관리를 위해 별도의 오동 나무함을 제작하여 보관토록 하였으며 모사기를 한지에 먹으로 사업명,사업내용,발주처,시공사 등을 써서 보관함을 뚜껑 속에 부착하였다.
|
공사관계자 |
1.공사감독:영광군청 문화관광과 장완종,유성원
2.자문위원:한국전통문화학교 교수 정광용,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손영문,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이천우
3.책임연구원:
사단법인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소장·문화재수리기술자 이정선
사단법인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모사팀장·문화재수리기술자 김석곤
사단법인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팀장·문화재수리기술자 심민섭
사단법인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문화재수리기술자 황두현
사단법인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문화재수리기술자 최현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