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적 | 공민왕릉(恭愍王陵) |
---|---|
지정사항 | 국보유적 제123호 |
주 소 | 황해북도 개성특급시 해선리 |
유적설명 | 고려 제31대 왕인 공민왕恭愍王(1330~1374)과 왕비인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1365)의 능으로 공민왕이 안장된 현릉玄陵과 노국대장공주가 안장된 정릉正陵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민왕릉은 고려말의 왕릉 형식을 대표하고 있어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릉의 기본이 되는 능으로 평가받고 있다. 왕릉의 내부는 석실구조로 현릉과 정릉을 연결하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석실의 벽과 천정에는 각각 12지를 상징하는 인물과 북두칠성이 그려져 있다. 왕릉의 봉분은 12매의 병풍석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각각의 병풍석에는 12지를 상징하는 인물상이 새겨져 있다. 봉분의 주위로는 난간석을 돌렸으며 난간석의 바깥으로는 석호石虎와 석양石羊이 번갈아가며 배치되어 있다. 봉분 아래쪽으로는 망주석望柱石과 장명등長明燈 및 문무인 석상이 정연하게 배치되어 있다. 러일전쟁 기간인 1905년 일본에 의해 도굴된 뒤 해방 이후 현재와 같이 복구되었다. 공민왕릉은 제3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 위원회에서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
유적설명(영어) | The royal tomb consists of two burial mounds, one called Hyeolleung for King Kongmin (r. 1351–1374), the 31st ruler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other named Jeongneung for his wife Princess Noguk (?–1365). The Mausoleum of King Kongmin epitomizes the royal tomb composition of the late Goryeo period, estimated to be a model for th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which were inscribed as World Heritage in 2009. The chamber is made of stone, and there is a passageway connecting Hyeolleung and Jeongneung. The ceiling and walls of the stone chamber are decorated with a celestial design and the twelve zodiac figures. The mounds are surrounded by 12 screen slabs, each engraved with the twelve zodiac figures, and the slabs are again encircled by railings. Outside the railings, stone tigers and stone sheep are alternately placed. On the lower terrace, there are stone pillars and stone lanterns, and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made of stone. The tomb was looted by Japan in 1905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and was restored to the present state after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n 1945. The royal tomb of King Kongmin and his wife was inscribed on the World Heritage List at the 37th session of the World Heritage Committee in 2013. |
첨부파일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고고연구실
- 담당자 : 홍밝음
- 문의 : 042-860-9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