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정번호제도 개선 (2021년) 이전 발간자료에 수록된 내용을 기반으로 구성한 자료로 지정번호가 일부 표기되어 있을 수 있는 점 이용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유적/용어명 최진보산성(鐵? 催陣堡山城)
설명 중국 요령성 철령현(鐵?縣)에서 남쪽으로 20㎞ 정도 떨어진 범하의 북쪽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 산성이다. 산봉(山峰)과 능선을 따라 성벽을 축조하였다. 따라서 성내는 북고남저(北高南低)의 지형을 하고 있어 성내의 모든 우수(雨水)는 골짜기 아래의 남쪽으로 흘러 범하로 흘러 들어간다. 성안 골짜기에는 ‘관음각(觀音閣)’이라는 사찰이 남아 있어 ‘최진보관음각성’라고도 부른다. 성벽의 전체적인 평면형태는 불규칙한 장방형이며, 둘레는 5,032m에 이른다. 동서 길이 2㎞, 남북 너비 1.5㎞이다. 성벽은 전체를 돌로 축조하였으나 일부 토축구간도 있다. 보존 상태가 양호한 구간에서 보면, 성벽의 너비는 약 3m, 높이 약 5m로 남아 있으며,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성돌로 축조하였다. 성내에는 5∼8m에 이르는 회곽도(廻郭道)가 돌아가고 있다. 성문은 남벽과 북벽, 두 곳에 있으며, 네 귀퉁이에는 망대(望臺)가 자리하고 있다. 성내에는 많은 수혈이 남아있는데, 직경 5∼10m, 깊이 1m 정도의 크기이다. 현지 사람들은 ‘고려갱’이라고 부르는데, 군사적 목적의 시설물로 생각된다. 성내에서는 붉은색의 격자무늬 수키와편과 적갈색 토기편, 파수부편, 화살촉 등이 수습되었다.(서정석)
참고문헌 遼海文物學刊94-2(遼海文物學會, 1994), 고구려성(한국방송공사, 1994), 2001년 고구려산성 답사보고서(서길수, 고구려연구 11, 고구려연구회, 2001), 최진보산성(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고구려의 성곽(진인진, 2009)
구분 용어
사전명 한국고고학 전문사전(성곽봉수편) - (성곽편)

국립문화재연구원이(가) 개방한 최진보산성(鐵? 催陣堡山城)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고고연구실
  • 담당자 : 송효진
  • 문의 : 042-860-9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