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용어명 | 오녀산성(桓仁五女山城) |
---|---|
설명 | 중국 요령성 환인현(桓仁縣) 오녀산 정상에 자리하고 있는 석성이다. 오녀산은 환인현에서 동북쪽으로 8㎞ 정도 떨어져 있는데, 남쪽으로는 압록강의 지류인 혼강(渾江)이 흐르고, 서남쪽에는 넓은 환인분지가 펼쳐져 있으며, 서남쪽으로는 동서로 통하는 도로가 지나가고 있다. 산성이 자리한 오녀산은 해발 820m에 이르는 험산인데, 산성 부근인 연강과 고력묘자 등 지에는 산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수 많은 고구려 고분군이 자리하고 있다. 성의 평면형태는 남북으로 긴 장방형으로, 남북 길이 1,000m, 동서 너비 300m, 전체 둘레 2,400m에 이른다. 성벽은 동남쪽과 동쪽으로 주로 쌓여있고, 절벽을 이루고 있는 북쪽과 동북쪽은 절벽 사이의 일부 구간만 축성하였을 뿐이며, 서벽은 축성하지 않고 험준한 자연절벽을 그대로 성벽으로 이용하였다. 성벽의 높이는 6∼8m이며, 저부 너비 6∼8m, 상부의 너비 4m이다. 4각추형의 형태로 다듬은 성돌을 이용하여 축성하였는데, 기초석은 특별히 큰 성돌을 이용하였다. 성돌의 크기는 보통 너비 30㎝, 높이 20㎝, 길이 35㎝지만 기초부분에 사용한 성돌중에는 길이가 2m나 되는 것도 있다. 성문은 남문·동문·서북문이 있다. 남문은 정문인데, 남벽의 동쪽 끝에 자리하고 있다. 두 성벽이 서로 어긋난 사이에 성문을 배치한 어긋문 형태의 성문으로, 성문의 동쪽성벽에는 밖으로 반원형으로 내쌓은 적대 흔적이 남아 있다. 동문은 동벽의 중간 정도에 있는데, 남문과 마찬가지로 계곡부에 자리하고 있다. 역시 옹성의 흔적이 있다. 서북문터는 매우 험한 곳에 자리하고 있어 흔적이 뚜렷하지 않다. 이 밖에 부대시설로는 장대를 비롯하여 병영터, 창고터, 연못 등이 있다. 성내에서는 고구려의 토기편과 칼·낫·도끼·삽·창 등의 철기, 수레부속구 등이 출토되었다. 이 산성의 동남부에는 고구려 초기 무덤인 계단식 적석총이 밀집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오녀산성을 『삼국사기(三國史記)』에서 말하는 고구려 초기 도읍지인 ‘졸본성’, 혹은 ‘흘승골성’에 비정 하고 있다.(서정석) |
참고문헌 | 중국내의 고구려유적(이전복 저, 차용걸·김인경 역, 학연문화사, 1994), 고구려성Ⅰ(국방군사연구소, 1998), 오녀산성(요령성 문물고고연구소,2004), 오녀산성(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고구려의 성곽-조선고고학전서 27-, 진인진, 2009) |
구분 | 용어 |
사전명 | 한국고고학 전문사전(성곽봉수편) - (성곽편)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 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