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용어명 | 가공유적(加工遺蹟) |
---|---|
설명 | 특정목적을 위해 점유되는 한정행위장소(limited activity station) 중 특히 획득한 자원의 처리와 관련하여 생성된 지점을 말한다. 사냥한 동물을 도살하여 근거지로 이동할 경우 도살한 지점은 가공유적(processing site)이 될 것이다. 한반도 서해안의 패총과 같이 거의 전적으로 굴로만 구성되어 있고 기타 자연유물이나 인공유물이 잘 보이지 않은 지점들도 패류채취와 처리가 이루어진 가공유적으로 볼 수 있다. 서해안의 인천 용유도 남북동유적이나 진안 갈머리유적의 단순야외노지 등도 어류나 식물성 식량의 가공처리를 위한 유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공유적은 매우 단기간 점유되며, 따라서 패총을 제외하면 고고학적인 가시도가 매우 떨어지고 도구조합 역시 특정목적을 위한 것에 제한되어 매우 단순한 구성을 보일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부산 동삼동패총 동물유체분석에서와 같이 유적에 남겨진 동물유체의 부위별 구성비를 토대로 근거지와 가공유적을 구별해내는 연구 등도 이루어지고 있다.(임상택) |
참고문헌 | Willow smoke and dog’s tails:hunter-gatherer settlement systems and archaeological site formation(Binford, L. R., American Antiquity45, 1980), 패총유적의 성격(임상택, 과기고고연구3, 아주대학교박물관, 1998), 중서부 신석기시대 편년과 패총 이용전략에 대한 새로운 이해(김장석·양성혁, 한국고고학보45, 한국고고학회, 2001) |
구분 | 유적 |
사전명 | 한국고고학 전문사전(신석기시대편)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 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