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용어명 | 가슴눌러떼기(胸部加壓剝離, Chest pressure) |
---|---|
설명 | 후기구석기시대 눌러떼기의 일종으로 돌날을 떼어낼 때 사용하는 기법이다. 우선 돌날을 떼어내기 적당한 입자가 고운 부싯돌(flint), 흑요석, 안산암, 유문암, 호온펠스, 니암 및 혈암(shale) 등의 석재를 선택하여 직접타격에 의한 단순한 박리를 가해 몸돌을 성형하거나 1차생산물을 떼기 위해 사용되었다. 예비몸돌을 나무로 만든 기구에 고정시킨 후 가슴을 댈 수 있는 형태를 가진 중간박리기구인 긴 막대를 가슴에 대어 눌러떼기를 시행한다. 박리를 할 때 돌날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돌을 가죽이나 질기고 단단한 나무껍질로 단단히 감아 고정시키기도 한다. |
참고문헌 | Paleolitovedenie(A.P.Derevianko?S.V.Markin?S.A.Vasilievskii, 1994), Technology of Knapped Stone(M.Inizan?H.Roche?J.Tixier, 1992) |
구분 | 용어 |
사전명 | 한국고고학사전(2001) |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 담당부서 :
- 문의 :